기본 정보

Doh Chang Lee Research Group

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공학대학원-생명화학공학과 이도창 교수

이도창 교수 연구실은 양자점(Quantum Dots) 및 다양한 반도체 나노구조체의 합성, 표면 및 계면 제어, 그리고 이들의 광·전기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광소자, 에너지 및 바이오 응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크기, 조성, 표면 구조를 정밀하게 제어한 양자점 및 나노결정의 합성 기술을 바탕으로, 고효율·고안정성 발광소자(QD-LED, QD 디스플레이), 편광 발광 소자, 고해상도 패터닝 공정 등 미래 디스플레이 산업의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비등방성 나노결정의 자가조립, 표면 리간드 엔지니어링, 초고속 분광 분석 등 첨단 기법을 활용하여 소자의 효율과 수명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에너지 및 환경 분야에서는 태양광을 활용한 이산화탄소 광환원, 알칼라인 수전해 기반 그린 수소 생산, 화학 루핑 암모니아 합성, 건식 메탄 개질 등 다양한 에너지 전환 및 온실가스 저감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나노촉매의 구조-성능 상관관계 분석, 계면 공학, 전자기유도 가열 등 혁신적 접근을 통해, 저탄소·고효율 에너지 시스템 구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양자점-박테리아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통한 광유도 암모니아 생산 등 생물학적 시스템과의 융합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바이오 및 의료 응용 분야에서는 다제내성균(MDR) 감염 치료를 위한 양자점 기반 광역동 치료, 생체 내 반도체 나노입자 합성을 통한 바이오 촉매 개발, 활성산소종 제어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인화인듐, 구리 황화물 등 중금속 프리 양자점의 생체적합성 향상, 체내 축적 방지 기술 등 안전성과 실용성을 고려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고안정성 QD/실록산 복합체, 잉크젯 기반 QD 색변환 소재, 무카드뮴 친환경 QD 등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한 상용화 기술 개발, 대면적·고해상도 패터닝, 고효율 광전변환 소재, 고성능 촉매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통해 학계와 산업계 모두에서 높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이도창 교수 연구실은 나노소재 합성, 광·전자·에너지·바이오 융합기술, 산업화 응용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미래 첨단 소재 및 에너지·환경·바이오 산업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