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양우석 교수
Nanomaterials for OptoElectronics Lab(나노소재 광전자 연구실)은 첨단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한 광전자 소자 및 에너지 변환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빛과 전자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소재를 탐구하며, 차세대 태양전지, 광센서, 광촉매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한 소재 및 소자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페로브스카이트, 칼코게나이드, 금속 산화물 등 다양한 무기 및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소재의 합성과 특성 분석을 통해, 고효율·고안정성 광전자 소자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용액공정 기반의 저온 합성법, 원자 수준의 도핑 및 표면 개질, 나노구조 제어 등 다양한 첨단 합성 및 가공 기술을 활용하여, 대면적, 저비용, 고효율의 소자 제작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기화학적 수전해 및 수소 생산을 위한 고성능 촉매 및 전극 소재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EIS), 표면 분석, 기체 진화 반응 측정 등 다양한 분석기법을 통해, 전극 소재의 반응 메커니즘을 정밀하게 규명하고, 실질적인 소자 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수소 경제 실현, 친환경 에너지 생산, 이차전지 및 연료전지 등 다양한 에너지 분야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분자면역 및 생명공학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면역세포 신호전달, 염증 반응, 단백질 변형 등 세포 내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다양한 천연물 및 합성 화합물의 항염증, 항암, 면역조절 효과를 분석하여 신약 개발 및 면역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Nanomaterials for OptoElectronics Lab은 소재과학, 화학공학, 생명공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융합을 통해, 차세대 에너지 및 바이오헬스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기술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