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Energy Materials Laboratory

한국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신병하 교수

Perovskite Solar Cells

Photo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Solar Hydrogen Production

Energy Materials Laboratory

신소재공학과 신병하

신소재공학과의 Energy Materials Laboratory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광전기화학적 물 분해,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단결정, 태양광 수소 생산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의 주요 연구 성과로는 (2024) 선택적 반응 보조 희생 첨가제 코팅을 통한 광대역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표면 패시베이션, (2023) BiVO4/Si 텐덤 장치를 통한 자발적 광전기화학적 물 분해, (2023) 이온 액체를 이용한 화학적 용접을 통한 대면적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단결정 및 기판 통합 등이 있습니다. 또한, Energy Materials Laboratory는 태양광 수소 생산을 위한 Cu2S 나노구조체의 용액 처리 및 혼합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의 광유도 할라이드 분리 관찰 등에서도 중요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다양한 기업과의 R&D 협력을 통해 실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Perovskite Solar Cells
Photo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Solar Hydrogen Production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표면 보호 기술
신소재공학과의 에너지 재료 연구실은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성능 향상 및 안정성 강화를 위한 표면 보호 기술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폭넓은 밴드갭을 가진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에 적합한 선택적 반응성 희생 첨가제 코팅 방법을 연구하여, 태양전지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고, 장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연구는 보다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태양에너지 활용을 가능하게 하여, 관련 산업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이 큽니다.
1
Enhancement of Lithium-Mediated Nitrogen Reduction by Modifying Center Atom of Tetraalkyl-Type Ionic Liquids
WILEY-V C H VERLAG GMBH, 2024
2
Efficient and spectrally stable pure blue light-emitting diodes enabled by phosphonate passivated CsPbBr<sub>3</sub> nanoplatelets with conjugated polyelectrolyte-based energy transfer layer
WILEY, 2024
3
Additive-Assisted Hydrothermal Growth Enabling Defect Passivation and Void Remedy in Antimony Selenosulfide Solar Cells
WILEY-V C H VERLAG GMBH,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