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 뇌인지과학과 이승우 교수
BINP 연구실은 KAIST 뇌인지과학과에 소속되어 있으며, 뇌와 신경계의 기능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혁신적인 신경 보철 및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전기, 자기, 열, 음향 등 다양한 인공 자극에 대한 뉴런의 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신경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세 자기장 자극, MEMS 기반 마이크로 코일, 액정 고분자 등 첨단 소재와 공정 기술을 접목하여, 기존 전극 기반 자극의 한계를 극복하는 차세대 신경 자극 및 보철 기기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시각 장애,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의 치료와 기능 회복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연구실은 동물 모델과 인간 뇌 조직을 이용한 실험, 컴퓨터 시뮬레이션, 임상 적용 연구를 병행하여, 실제 생체 환경에서의 신경 자극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뇌의 전기적 신호를 외부 장치와 직접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을 통해, 신체적 한계를 극복하고 인간의 인지 및 운동 능력을 확장하는 미래형 인터페이스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인공지능, 로봇공학, 재활의학 등 다양한 학문과의 융합을 통해, 혁신적인 의료 및 공학적 솔루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뇌과학 및 신경공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BINP 연구실은 뇌와 신경계의 미지의 영역을 개척하고, 사회적 가치와 임상적 효용성이 높은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