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김도희 연구실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김도희 교수

Catalyst Materials Research

Catalysi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Catalysis for Energy Production

김도희 연구실

화학생물공학부 김도희

김도희 연구실은 촉매화학공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환경·에너지 문제 해결을 위한 첨단 촉매 및 공정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금속, 금속산화물, 제올라이트 등 다양한 촉매 소재의 합성, 구조 제어, 표면 및 계면 특성 분석을 통해 촉매의 활성, 선택성, 내구성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혁신적인 합성법(기계화학, 화학기상증착, 이온교환, 표면처리 등)을 활용하여 촉매의 미세구조와 활성점 분포를 정밀하게 조절하고, 이를 환경오염물질 저감, 탄소중립 연료 생산, 바이오매스 업그레이딩 등 다양한 반응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자동차 및 산업용 배기가스 내 질소산화물(NOx) 저감, 암모니아 처리,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 산화, 바이오매스 및 폐플라스틱 업그레이딩, 수소 생산 등입니다. 예를 들어, 제올라이트 기반 금속 촉매를 활용한 저온 NOx 저감, 암모니아 산화 및 선택적 촉매 환원, 메탄 및 경질 탄화수소의 방향족화, 바이오오일의 수소화탈산소화 등에서 우수한 성능과 내구성을 입증하였으며, 촉매의 비활성화 원인 규명 및 재생 기술, 촉매-담체 상호작용, 수소 스필오버, 산·염기성 조절 등 촉매 반응 메커니즘에 대한 심층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환경 촉매 분야에서는 선택적 촉매 환원(SCR), 수소 기반 SCR, 암모니아 산화 및 선택적 산화, 저온 NOx 저장(PNA) 등 다양한 시스템을 연구하며, 촉매의 활성점 구조 제어, 수열 내구성 향상, 황 내성 강화, 촉매 재생 등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매스 및 폐플라스틱의 업그레이딩을 위한 촉매 반응 연구를 통해 친환경 연료 및 고부가가치 화합물 생산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험실 수준의 촉매 개발을 넘어, 실제 산업 공정에 적용 가능한 촉매 및 공정 기술로의 확장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반응기 모델링, 공정 최적화, 촉매 대량합성,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등 산학협력도 활발히 진행 중이며, 정부·산업체 프로젝트,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특허 및 논문 출판 등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친환경 사회 실현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미래 탄소중립 사회를 위한 핵심 원천기술 확보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앞으로도 촉매화학공학의 기초와 응용을 아우르는 융합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환경·에너지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Catalyst Materials Research
Catalysi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Catalysis for Energy Production
촉매화학공학: 차세대 촉매 설계 및 환경·에너지 응용
김도희 연구실은 촉매화학공학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금속, 금속산화물, 제올라이트 등 다양한 촉매 소재의 합성 및 구조 제어, 그리고 이들의 표면·계면 특성 분석을 통해 촉매의 활성, 선택성, 내구성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전통적 습식 합성법뿐만 아니라 기계화학, 원팟 화학기상증착(OP-CVD), 이온교환, 표면처리 등 다양한 혁신적 합성법을 개발하여 촉매의 미세구조와 활성점 분포를 정밀하게 조절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첨단 촉매는 환경오염물질 저감(질소산화물,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등), 탄소중립 연료 생산, 바이오매스 업그레이딩, 수소 생산 등 다양한 환경·에너지 반응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올라이트 기반 금속 촉매를 활용한 저온 NOx 저감, 암모니아 산화 및 선택적 촉매 환원(SCR), 메탄 및 경질 탄화수소의 방향족화, 바이오오일의 수소화탈산소화(HDO) 등에서 우수한 성능과 내구성을 입증하였습니다. 또한, 촉매의 비활성화 원인 규명 및 재생 기술, 촉매-담체 상호작용, 수소 스필오버, 산·염기성 조절 등 촉매 반응 메커니즘에 대한 심층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험실 수준의 촉매 개발을 넘어, 실제 산업 공정에 적용 가능한 촉매 및 공정 기술로의 확장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반응기 모델링, 공정 최적화, 촉매 대량합성,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등 산학협력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친환경 사회 실현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에 기여하고 있으며, 다양한 정부·산업체 프로젝트,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특허 및 논문 출판 등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환경 촉매 및 탄소중립 기술: NOx 저감, 암모니아 처리, 바이오매스 업그레이딩
본 연구실은 환경오염물질 저감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촉매 및 공정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자동차 및 산업용 배기가스 내 질소산화물(NOx) 저감을 위한 선택적 촉매 환원(SCR), 수소 기반 SCR(H2-SCR), 암모니아 산화 및 선택적 산화(NH3-SCO), 저온 NOx 저장(PNA) 등 다양한 환경 촉매 시스템을 연구합니다. 특히, 제올라이트 기반 금속 촉매(Cu-SSZ-13, Pd/SSZ-13, Fe-Cu/SSZ-13 등)의 활성점 구조 제어, 수열 내구성 향상, 황 내성 강화, 촉매 재생 등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매스(특히 해조류 유래 알긴산, 리그닌 등) 및 폐플라스틱의 업그레이딩을 위한 촉매 반응도 활발히 연구합니다. 바이오오일의 수소화탈산소화(HDO), 알긴산의 당알코올·유기산·푸르푸랄 전환, 리그닌의 단일 방향족화합물 생산 등에서 루테늄, 팔라듐, 코발트, 구리 등 다양한 금속/탄소/산화물 촉매의 구조-활성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반응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분석합니다. 이 과정에서 수소 스필오버, 촉매-담체 상호작용, 산·염기성 조절, 촉매 비활성화 및 재생 등 촉매 과학의 핵심 이슈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산업 현장(자동차, 발전소, 석유화학, 바이오리파이너리 등)에서 요구되는 고효율·고내구성 환경 촉매 및 탄소중립 연료 생산 기술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정부, 산업체, 공공기관 등과의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실용화 연구를 선도하고 있으며, 다수의 특허, 기술이전, 학술상 수상, 국제 학술지 논문 발표 등으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1
Pd nanoparticles fixed in zeolites promote low-temperature NO reduction via hydrogen spillover
정형동, 송인학, 김도희, 이은원, 이재하, 박동찬, 문세이
APPLIED CATALYSIS B-ENVIRONMENTAL, 2025
2
Revealing the active Cu species in Cu/ZSM-5 catalysts for the selective catalytic oxidation of ammonia
김도희, 황세인, 박동찬, 정형동, 이은원
CATALYSIS TODAY, 2025
3
Hydrogen production in ammonia decomposition over direct reduced iron catalyst obtained from ironmaking process
김도희, 박재민, 손태오, 주상욱, 권기훈, 김범식, 박해웅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2025
1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산업용 배기가스 정화 촉매 시스템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열분해오일 업그레이딩을 위한 촉매 비활성화 특성 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 2025년
3
스마트디지털엔지니어링전문인력양성
산업통상자원부
2023년 03월 ~ 2024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