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김민욱 연구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김민욱 교수

김민욱 연구실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김민욱

김민욱 연구실은 중추신경계 재활과 연하장애(삼킴장애)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재활의학 전문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척수손상 등 다양한 중추신경계 질환 환자들의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최신 진단기술과 치료법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환자의 운동 기능, 인지 기능, 연하 기능 등 다양한 영역에서 맞춤형 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초음파,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SPECT, 전기생리학적 검사 등 첨단 진단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정밀하게 평가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반복적 경두개 자기자극(rTMS), 전기자극치료, 로봇 재활, 근력강화운동, 보툴리눔 독소 주사 등 다양한 치료법을 임상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임상 진료지침 개발, 국내외 다기관 연구, 학회 활동 등을 통해 재활의학의 표준화와 치료 효과 극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하장애 분야에서는 비디오투시삼킴검사(VFSS), 초음파, AI 기반 진단 등 다양한 평가법을 개발하고, 환자 맞춤형 재활치료와 영양관리, 합병증 예방을 위한 다학제적 접근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연하장애 환자의 흡인성 폐렴 예방, 영양상태 개선,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임상연구, 진료지침 개발, 학술활동을 통해 국내 재활의학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제 학술지 논문 발표, 학회 발표, 다기관 협력연구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최신 치료기술의 임상 적용과 표준화, 새로운 진단법 개발, 환자 중심의 맞춤형 재활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혁신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김민욱 연구실은 중추신경계 재활과 연하장애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와 임상 적용을 통해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재활의학의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환자 중심의 연구와 치료, 다학제적 협력, 첨단기술 도입을 통해 국내외 재활의학 분야를 선도하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중추신경계 재활
중추신경계 재활은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척수손상 등 중추신경계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체적, 인지적, 기능적 장애를 극복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포괄적인 치료 접근법입니다. 본 연구실은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들의 운동 기능 회복, 일상생활 동작 개선, 인지 기능 재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뇌졸중 환자의 상지 및 하지 기능 회복, 연하장애(삼킴장애) 재활,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맞춤형 재활 프로그램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최신 신경생리학적 검사, 초음파 영상,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SPECT) 등 다양한 진단 및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반복적 경두개 자기자극(rTMS), 전기자극치료, 로봇 재활, 맞춤형 운동치료 등 다각적인 치료법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합니다. 또한, 임상 진료지침 개발 및 국내외 다기관 연구를 통해 중추신경계 재활의 표준화와 치료 효과 극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의 기능적 회복뿐만 아니라, 사회 복귀와 자립을 위한 장기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중추신경계 재활 분야에서 혁신적인 치료법 개발과 임상 적용을 통해 국내외 재활의학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연하장애(삼킴장애) 진단 및 재활
연하장애는 뇌졸중, 파킨슨병, 치매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에서 흔히 동반되는 증상으로, 환자의 영양 상태와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연하장애의 조기 진단, 평가, 맞춤형 재활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비디오투시삼킴검사(VFSS), 섬유내시경연하검사(FEES), 초음파를 이용한 연하근육 평가 등 다양한 진단기법을 활용하여 환자의 연하 기능을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최근에는 초음파를 이용한 비침습적 연하장애 진단법과 인공지능(AI) 기반의 연하 평가 자동화 기술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초음파를 통해 혀, 구강저, 후두거상근의 움직임과 상부식도괄약근의 기능을 실시간으로 관찰하며,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재활치료(예: 근력강화운동, 전기자극치료, 보툴리눔 독소 주사 등)를 적용합니다. 또한, 연하장애 환자의 영양관리, 구강위생, 합병증 예방을 위한 다학제적 접근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연하장애 환자의 흡인성 폐렴 예방, 영양상태 개선,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연하장애 진단 및 치료의 표준화, 새로운 치료기술 개발, 임상지침 제정 등 다양한 방면에서 국내외 연하장애 연구를 선도할 계획입니다.
1
The Brain Lesion Affecting Dysphagia in Patient with Supratentorial Stroke
강전웅, 임성훈, 김민욱, 김재원, 장대현
NEUROREHABILITATION, 202505
2
Factors Associated with Early Functional Prognosis in Upper Limb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이재웅, 김재원, 김민욱, 이승옥
NEUROREHABILITATION, 202504
3
Enhanced diagnosis and severity assessment of carpal tunnel syndrome using combined shear wave elastography and cross-sectional area analysis: A prospective case-control study
김재원, 김민욱, 김재민
PLOS ONE, 202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