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붕주 연구실
전자공학과 이붕주
이붕주 연구실은 전자공학과를 기반으로 반도체 소자 및 회로, 스마트 센서, IoT 융합 시스템, 광시뮬레이션 및 스마트팜 기술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첨단 소재와 공정 기술을 활용한 반도체 소자 개발, 신뢰성 높은 회로 설계, 그리고 차세대 정보통신 기술의 실용화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유기메모리 소자, 트랜지스터, 투명전극, 탄소나노튜브 등 차세대 반도체 소자 연구를 통해 전자공학 분야의 핵심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다양한 특허 출원과 기술이전, 산학협력으로 이어지며, 산업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응용과 상용화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스마트 센서와 IoT 기반 융합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여, 화재 감지 멀티탭, 시각장애인용 스마트고글, 운동 자세 교정 시스템 등 실생활에 밀접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사용자 친화적이고 실시간 피드백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광시뮬레이션 및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팜 기술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온실 구조와 광환경의 최적화를 위한 시뮬레이션, 태양전지와 LED를 활용한 에너지 절감형 농업 시스템 개발 등은 지속가능한 미래 농업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ICT와 농업의 융합을 통해 스마트팜 분야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붕주 연구실은 앞으로도 반도체, 센서, IoT, 스마트팜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통해 전자공학 분야의 발전과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할 것입니다.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미래 지능형 사회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반도체 소자 및 회로 설계
이붕주 연구실은 반도체 소자 및 회로 설계 분야에서 오랜 기간 동안 연구를 수행해왔습니다. 연구실은 유기메모리 소자, 트랜지스터, 투명전극, 탄소나노튜브 기반 소자 등 다양한 반도체 소자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플라즈마 중합법, 스퍼터링, CVD 등 첨단 박막 공정 기술을 활용하여 고성능, 고신뢰성의 반도체 소자 제작 및 특성 분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실은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 향상과 더불어, 신소재를 적용한 차세대 소자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기박막 트랜지스터, 플로팅 게이트형 유기메모리, 투명전극막 등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메모리, 센서 응용에 필수적인 기술로, 연구실은 소재의 구조적·물리적 특성 제어와 소자 성능 최적화에 대한 심층 연구를 수행합니다.
또한, 연구실은 반도체 소자 및 회로의 실용화와 상용화를 위해 산업체와의 협력, 특허 출원, 기술이전 등 다양한 산학협력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전자공학 분야의 핵심 기술 발전에 기여하며, 미래 정보통신 및 스마트 디바이스 산업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센서 및 IoT 기반 융합 시스템 개발
이붕주 연구실은 다양한 센서 기술과 IoT(사물인터넷) 기반 융합 시스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비접촉 전류측정센서를 활용한 화재 감지 및 과전류 차단 멀티탭, UWB 센서와 머신러닝을 결합한 시각장애인용 스마트고글, 압력 및 가속도 센서를 활용한 운동 자세 교정 시스템 등 실생활에 밀접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블루투스, 초음파, 적외선 등 다양한 하드웨어 플랫폼과 센서 융합 기술을 바탕으로, 사용자 친화적이고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및 피드백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홈, 퍼스널 모빌리티, 헬스케어, 안전관리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센서 데이터의 정확한 측정과 분석, 실시간 모니터링, 사용자 인터페이스 최적화 등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차세대 스마트 시스템의 실용화와 상용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로, 미래 지능형 사회 구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광시뮬레이션 및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팜 기술
연구실은 광시뮬레이션 및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팜 기술 개발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광합성 광양자속밀도 기반의 광시뮬레이션, 자연광을 고려한 유리온실 구조물 설계, 태양전지와 LED를 활용한 인삼재배용 온실 조도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농업 분야의 스마트화와 에너지 효율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Relux, AGI, Matlab 등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실제 온실 구조와 광환경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최적의 설계 인자를 도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실측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스마트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질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스마트팜 관련 연구는 농업 생산성 향상, 에너지 절감, 환경 친화적 재배 시스템 구축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첨단 ICT와 농업의 융합을 선도하며, 지속가능한 미래 농업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Analysis of purification in radioactively contaminated ocean water near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site
이붕주, 장경배, 우태호
ENERGY SCIENCE & ENGINEERING, 202310
2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지문센서를 활용한 음주운전방지장치
이붕주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202210
3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키오스크
이붕주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202210
1
플라즈마중합법에 의한 고분자초박막 플렉서블 유기메모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