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융합에너지공학과 이승우 교수
NEO Lab(나노공정 에너지 및 광학 연구실)은 고려대학교에서 나노소재, 광학, 에너지, 반도체 공정의 융합 연구를 선도하는 세계적 수준의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콜로이드, DNA 오리가미, 고분자, 금속 나노입자 등 다양한 소프트 나노물질을 기반으로 한 자기조립 및 나노공정 기술을 개발하여, 차세대 광학 메타물질, 포토닉/포노닉 크리스탈, 고효율 에너지 소자, 첨단 반도체 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특히, DNA 오리가미와 콜로이드 자기조립을 활용한 3차원 포토닉 크리스탈, 플라즈모닉 메타물질, 고굴절률 메타표면 등은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는 광학적 특성과 구조적 정밀도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Nature, Science, Advanced Materials 등 세계적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었으며, 국내외 특허와 기술이전, 산업체 협력 등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DNA-Quantum 에너지 파운드리, EUV 반도체 공정, HOPE 팹 공정 등 국가 대형 연구단을 주도하며, 하버드, MIT,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과의 글로벌 협력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홀로그래픽 프린팅, 광반응성 고분자, EUV/전자빔 리소그래피 등 첨단 나노공정 기술을 개발하여, 반도체, 디스플레이, 에너지, 센서 등 다양한 산업 응용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R/VR 디스플레이용 푸리에 홀로그램, 자율주행 자동차용 전자잉크, 태양광-열 에너지 변환 소재, 복사냉각 도료 등은 실제 산업 현장에서 기술이전 및 상용화가 진행 중입니다. 또한, 고분자 기반의 차세대 리소그래피 레지스트, 3차원 구조체 프린팅, 분자 어드레서블 칩 등은 미래 반도체 및 바이오융합 분야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NEO Lab은 융합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바탕으로, 학제 간 경계를 넘나드는 연구를 지향합니다. 연구실 구성원들은 물리, 화학, 재료, 생명, 전자, 기계 등 다양한 전공 배경을 바탕으로 협력하며, 국내외 학회, 국제 컨퍼런스,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학생 및 연구원들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하버드, MIT, LMU, ETH 등 세계 유수 연구기관과의 교류 및 공동연구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NEO Lab은 나노공정, 광학, 에너지, 반도체 융합 분야에서 세계적 연구성과와 산업적 혁신을 동시에 추구하며, 미래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첨단 기술 생태계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해나갈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