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ergy & Environment Nanomaterial Laboratory
신소재공학부 정현석
에너지 및 환경 나노소재 연구실은 신소재공학부 소속으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공학, 유연한 페로브스카이트 장치 개발, 그리고 대규모 생산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연구실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다수의 논문과 특허를 출원하였습니다. 또한, 실내 태양전지 및 저궤도 위성 전력 응용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실질적인 응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Perovskite Solar Cells
Perovskite Crystallinity Engineering
Flexible Perovskite Devices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내구성 및 환경적 안정성 연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높은 효율과 경제성으로 주목받고 있는 차세대 태양전지입니다. 그러나 상용화를 위해서는 장기적 안정성과 환경적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본 연구실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재료와 공정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태양전지의 수명을 연장하고, 재활용 및 폐기 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폴리머 복합체 기반 블루 타겟 포토디텍터 개발
블루 타겟 포토디텍터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와 광통신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실은 페로브스카이트와 폴리머 복합체를 이용한 고성능 블루 타겟 포토디텍터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나트륨 보레이트와 같은 첨가제를 사용하여 나노 구조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감도와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고성능 광전자 소자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1
Perovskite Tandem Solar Cells for Low Earth Orbit Satellite Power Applications
Geon Woo Yoon, Bong Hyun Jo, Passarut Boonmongkolras, Gill Sang Han, Hyun Suk Jung
Advanced Energy Materials, 2024
2
Managing the lifecycle of perovskite solar cells: Addressing stability and environmental concerns from utilization to end-of-life
Hee Jung Kim, Gill Sang Han, Hyun Suk Jung
eScience, 2024
3
Facet-Controlled Growth of Hydroxyapatite for Effectively Removing Pb from Aqueous Solutions
Hee Jung Kim, Jin Hyuk Choi, SangMyeong Lee, Gill Sang Han, Hyun Suk Jung
ACS Omega,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