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임 연구실
의학과 신정임
신정임 연구실은 의학과를 기반으로 면역학, 미생물학, 종양학, 감염병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핵심 목표는 암과 감염성 질환에 대한 혁신적인 면역치료법과 백신을 개발하여,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습니다. 이를 위해 종양 면역치료, 항암 백신, 감염병 항체 및 유전자 치료제 개발 등 다양한 연구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암세포의 면역회피 기전 규명과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치료 전략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항원 특이적 T 세포 및 NK 세포의 활성화, 종양 미세환경 조절, 항암제와 면역치료의 병용요법 등 다양한 접근법을 통해 암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동물 종양 모델과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실제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감염성 질환 분야에서는 에볼라바이러스, SFTS 바이러스, 레지오넬라 등 신종 및 재출현 감염병에 대한 항체 및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도마 기술, 단클론항체 생산, DNA 백신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감염병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항체의 특이성 및 중화능 평가, 동물모델에서의 효능 검증 등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국내외 연구과제와 특허, 논문, 학술대회 발표 등을 통해 탁월한 연구 성과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특히, 파필로마바이러스, HER2, CEA 등 종양 및 감염 관련 항원에 대한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암 및 감염병 환자의 치료 성적 향상과 재발 방지, 신종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신정임 연구실은 면역학적 기전 연구와 혁신 치료제 개발을 통해, 의생명과학 분야의 발전을 선도하고, 환자 중심의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지속적으로 힘쓸 예정입니다.
Tumor Microenvironment
Monoclonal Antibodies
Cancer Immunotherapy
종양 면역치료 및 백신 개발
신정임 연구실은 종양에 대한 면역치료 및 백신 개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암세포가 면역계의 감시를 회피하는 다양한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항원 특이적 CD8+ T 세포와 NK 세포의 활성화, 종양 미세환경의 조절, 그리고 항암 면역반응을 증진시키는 분자적 기전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DNA 백신, 펩타이드 백신, 유전자 치료제 등 다양한 백신 플랫폼을 활용하여 자궁경부암, 대장암, 흑색종 등 여러 암종에 대한 치료 효과를 검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항암제(예: 시스플라틴, 젬시타빈)와 면역치료의 병용요법을 통해 치료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동물 종양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임상 및 기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성과로는 항암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백신의 효능 증진, 종양 항원 소실 및 면역회피 기전 규명, 그리고 면역세포의 종양 침투 및 활성화 촉진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암 환자의 치료 성적 향상과 재발 방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차세대 면역항암제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감염성 질환에 대한 항체 및 유전자 치료제 개발
연구실은 에볼라바이러스,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 바이러스(SFTS), 레지오넬라 등 다양한 감염성 질환에 대한 항체 및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감염병의 병원성 기전과 면역반응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을 타깃하는 항체 개발과 항체 발현 유전자 치료제의 작용기전 규명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하이브리도마 기술, 단클론항체 생산, DNA 백신 및 단백질 백신 등 첨단 생명공학 기법을 활용하여 감염병에 대한 신속하고 강력한 면역 방어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항체의 특이성 및 중화능 평가, 동물모델에서의 치료 효능 검증, 그리고 임상 적용 가능성 평가 등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종 감염병의 확산을 억제하고,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의 신속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에볼라바이러스 및 SFTS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감염병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감염병 백신의 면역원성 증진 및 안전성 평가, 그리고 새로운 면역치료 전략 개발에도 지속적으로 힘쓰고 있습니다.
1
B16 melanomas evade antitumor immunity by the loss of epitope presentation and the acquisition of tumor resistance to granzyme B
신정임
CELLULAR IMMUNOLOGY, 202109
2
B16 melanoma control by anti-PD-L1 requires CD8+T cells and NK cells: application of anti-PD-L1 Abs and Trp2 peptide vaccines
신정임
HUMAN VACCINES & IMMUNOTHERAPEUTICS, 202107
3
CD8(+) T Cells Directed Against a Peptide Epitope Derived From Peptidoglycan-Associated Lipoprotein of Legionella pneumophila Confer Disease Protection
신정임
FRONTIERS IN IMMUNOLOGY, 202012
1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 바이러스 표면단백질을 타깃하는 항체 개발을 통한 바이러스 억제 기전 연구
2
동물종양모델에서 대장암항원규명을 통한 종양제어기술 개발 및 관련 기전 연구
3
에볼라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할 수 있는 항체 및 항체발현 유전자치료제의 개발 및 작용기전 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