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KS Ha's Lab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하경수 교수

Fischer-Tropsch Synthesis

Methane Conversion

Catalysts

KS Ha's Lab

화공생명공학과 하경수

KS Ha 연구실은 화공생명공학 분야에서 촉매 및 반응공학을 기반으로 한 첨단 화학공정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메탄,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및 다양한 탄화수소 가스를 고부가가치 화학제품으로 전환하는 혁신적인 촉매 및 반응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온 및 상압에서 작동하는 유전체 장벽 방전 플라즈마 반응기와 같은 신개념 공정을 도입하여, 기존 열적 공정 대비 에너지 효율과 환경적 이점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나노 촉매 및 계층적 구조의 메조다공성 촉매, 귀금속 도입 3DOM 촉매 등 다양한 혁신적 촉매 소재를 합성하고, 이들의 구조-성능 상관관계를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메탄의 직접 전환, 간접 전환(GTL), 피셔-트롭시 합성, 메탄올 및 아세트산의 친환경 합성 등 다양한 공정에 최적화된 촉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촉매의 내구성, 재생성, 대면적 합성 등 산업적 적용을 위한 실용화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플라즈마-촉매 융합 기반의 신공정 개발은 본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분야입니다. 에탄 크래킹 센터와 비열 플라즈마 반응기를 결합한 에틸렌 생산 공정, CCS 처리 CO2와 폐메탄을 활용한 녹색 메탄올 및 아세트산 합성 등은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한 실질적 해법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재생에너지와 결합 시 온실가스 저감과 경제성 향상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습니다. 연구실은 시스템적 접근을 통해 공정의 경제성, 에너지 효율, 환경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며, 실제 산업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내외 산학연 협력 프로젝트와 특허, 논문, 기술이전 실적을 바탕으로, 미래 화학공정의 지속가능성과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KS Ha 연구실은 촉매 과학의 근본 원리 탐구와 더불어, 실질적인 산업적 혁신을 이끌어내는 응용 연구를 동시에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화학공정의 패러다임 전환과 탄소중립 사회 실현에 기여하는 세계적 연구실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Fischer-Tropsch Synthesis
Methane Conversion
Catalysts
온실가스 및 탄화수소 가스의 촉매 전환 기술
본 연구실은 메탄 및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 그리고 철강 및 화학 산업에서 발생하는 부산가스 등 다양한 탄화수소 가스를 고부가가치 화학물질로 전환하는 첨단 촉매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메탄은 가장 풍부하면서도 온실효과가 큰 가스이기 때문에, 이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올레핀, 방향족, 알코올, 합성연료, 전기 등 다양한 화학제품으로 전환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환 과정에서 저온 및 상압 조건에서 작동하는 유전체 장벽 방전 플라즈마 반응기와 같은 혁신적인 반응 시스템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비열 플라즈마 기반의 촉매 전환 기술에 적합한 새로운 촉매를 설계 및 합성하고, 이를 통해 온실가스의 화학적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메탄 활성화를 통해 아세틸렌, 에틸렌, 에탄 등 경질 탄화수소를 생산하며, 이 과정에서 개발된 촉매는 높은 선택성과 내구성을 보입니다. 또한, 플라즈마와 촉매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여 기존 열적 공정 대비 에너지 효율과 환경적 이점을 동시에 달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온실가스 저감 및 자원화, 그리고 화학 산업의 지속가능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한 핵심 원천기술로 자리매김할 수 있으며, 미래 에너지 및 화학공정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고 있습니다.
나노 촉매 및 신개념 반응 시스템 개발
연구실은 셰일가스, 석탄, 바이오매스, 온실가스 등 다양한 탄소계 원료로부터 올레핀, 방향족, 알코올, 유기산 등 기초 화합물을 생산하기 위한 나노 촉매 및 신개념 반응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3차원 계층적 구조를 갖는 메조다공성 촉매, 귀금속 도입 3DOM 촉매, 그리고 고분산 금속-지지체 복합체 등 혁신적인 촉매 소재의 합성과 구조-성능 상관관계 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나노 촉매는 높은 표면적과 기공 구조를 바탕으로 반응 활성 및 선택성을 극대화하며, 기존 상용 촉매 대비 내구성과 재생성에서도 우수한 특성을 보입니다. 또한, 메탄의 간접 전환(GTL) 공정, 피셔-트롭시 합성, 메탄올 및 아세트산의 친환경 합성 등 다양한 공정에 최적화된 촉매를 설계하고, 실제 반응기 내에서의 거동을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밀하게 규명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촉매의 미세구조 제어, 금속 입자 크기 및 분산도 조절, 지지체-금속 상호작용 강화 등 촉매 과학의 근본적인 원리를 탐구함과 동시에, 산업적 적용을 위한 대면적 합성 및 스케일업 기술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래 화학공정의 효율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플라즈마-촉매 융합 기반의 신공정 및 탄소중립 전략
본 연구실은 플라즈마와 촉매를 융합한 신개념 공정 개발을 통해, 기존 열적 공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탄소중립 사회 실현에 기여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에탄 크래킹 센터와 비열 플라즈마 반응기를 결합한 새로운 에틸렌 생산 공정은 기존 NCC, 메탄 열분해, ECC 등과 비교해 생산비용이 경쟁력 있으며, 재생에너지와 결합 시 온실가스 배출 저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CCS(탄소 포집 및 저장) 처리된 CO2와 폐메탄을 활용하여 친환경 메탄올 및 아세트산을 합성하는 기술도 개발 중입니다. 이 과정에서 귀금속 도입 3DOM 촉매와 비열 플라즈마 기술을 접목하여, 낮은 온도와 압력에서도 높은 전환율과 선택성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녹색 운송연료 및 고분자 원료 생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연구실은 공정의 경제성, 에너지 효율, 환경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적 접근을 통해, 실질적인 산업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 화학공정의 지속가능성과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1
Effects of Acid Sites on Thin MCM-22 Zeolite Catalysts and Their Catalytic Applications for Acetylene Aromatization
Jinju Hong, Jonghyun Jeon, Hee Hwan Kim, Kyung Soo Shin, Sung June Cho, Kyoung-Su Ha*
ChemCatChem, 2024
2
Recovery of methyl methacrylate from waste poly (methyl methacrylate) pellets using a low-temperature plasma and zeolites
Dong Hyeon Kim1,†, Hee Hwan Kim1,†, Juchan Kim1, Youngchang Byun2,*, Kyoung-Su Ha1,*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24
3
Ethylene Production Processes in a Carbon-Neutral Strategy
Wonho Jung, Jinwon Lee*, Kyoung-Su Ha*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2024
1
탄소복합체 기반 촉매를 활용한 고효율 피셔-트롭시 반응 공정 개발
(재)한국연구재단
2019년 06월 ~ 2022년 02월
2
[RCMS]Cx가스 전환을 통한 에너지화 및 화학제품 생산 연계 핵심기술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17년 04월 ~ 2021년 12월
3
CO 수소화 반응을 위한 고도로 규칙적인 기공구조를 갖는 3차원 그래핀
(재)한국연구재단
2016년 06월 ~ 2019년 0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