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생체대사조절연구실

성균관대학교 본교(제1캠퍼스) 생명과학과

정수명 교수

Metabolic Pathways

Cellular Signaling

Thermogenesis

V3_minor

생체대사조절연구실

생명과학과 정수명

생체대사조절연구실은 생명과학과 소속으로, 대사 경로와 세포 신호 전달의 교차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생리적 현상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갈색 지방 조직의 대사와 열발생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최근 3년간 다양한 연구 성과를 발표하였습니다. 2023년에는 '갈색 지방 조직에서의 대사물질 교환을 측정하기 위한 동맥-정맥 대사체학'과 '열발생 동안 갈색 지방과 골격근에서의 대사 흐름의 정량 분석' 등의 논문을 통해 갈색 지방 조직의 대사 과정을 심도 있게 탐구하였습니다. 또한, mTORC2 신호 전달 경로가 갈색 지방의 지방 분해와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관련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해당 분야에서의 높은 연구 역량을 입증하며, 다양한 기업과의 협업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Metabolic Pathways
Cellular Signaling
Thermogenesis
갈색 지방 조직의 대사 조절
갈색 지방 조직은 체내 에너지 균형을 유지하고 체온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갈색 지방 조직의 대사 흐름과 물질 교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이 조직이 어떻게 체내 대사 건강에 기여하는지 밝혀냈습니다. 다양한 동위원소 추적 기법과 대사체 분석을 통해 갈색 지방 조직이 열 생성 과정에서 어떻게 포도당과 지방산을 이용하는지 규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사 질환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갈색 지방 조직의 대사 조절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사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1
Arteriovenous Metabolomics to Measure In Vivo Metabolite Exchange in Brown Adipose Tissue.
Lee S, Lim G, Kim S, Kim H, Roh YJ, Kim W, Choi DW, Jung SM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2023
2
Quantitative analysis of metabolic fluxes in brown fat and skeletal muscle during thermogenesis.
Park G, Haley JA, Le J, Jung SM, Fitzgibbons TP, Korobkina ED, Li H, Fluharty SM, Chen Q, Spinelli JB, Trivedi CM, Jang C, Guertin DA
Nature Metabolism, 2023
3
Peli3 ablation ameliorates acetaminophen-induced liver injury through inhibition of GSK3β phosphorylation and mitochondrial translocation.
Lee J, Ha J, Kim JH, Seo D, Kim M, Lee Y, Park SS, Choi D, Park JS, Lee YJ, Yang S, Yang KM, Jung SM, Hong S, Koo SH, Bae YS, Kim SJ, Park SH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