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최병길 연구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최병길 교수

최병길 연구실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최병길

최병길 연구실은 중재적 진단방사선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영상의학적 진단과 중재시술을 융합하여 간세포암, 신장질환, 혈관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진단과 치료법을 개발하고 임상에 적용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간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동맥 화학색전술, 약물방출구슬 색전술, 간동맥 항암주입화학요법 등 최신 중재적 치료법의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영상진단기법(콘빔 CT, 다중검출기 CT, MRI 등)을 활용하여 치료 반응을 예측하고, 시술 후 합병증을 최소화하는 방법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혈관 및 비혈관계 중재시술(중심정맥포트 삽입, 혈관 스텐트, 혈전제거술, 담도 및 요관 스텐트 등)에 대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그 임상적 효용성을 검증하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의 치료 성적을 높이고, 시술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복잡한 해부학적 변이를 가진 환자에서의 시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기구 및 시술법 개발, 시술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예방 및 관리법, 그리고 시술 후 환자 관리 프로토콜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좌측 내경정맥을 통한 중심정맥포트 삽입 시 모노레일 테크닉, 신장 혈관 색전술에서 다양한 색전물질의 비교, 혈전성 정맥혈전증 환자에서의 수기적 혈전제거술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외에도 본 연구실은 영상의학적 데이터 관리, 의료정보시스템 개발, 영상 데이터 압축 및 저장 효율화, 인공지능 기반 영상 분석 등 의료영상정보학 분야의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임상 현장에서의 영상 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고,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병길 연구실은 앞으로도 중재적 진단방사선학과 영상의학의 최신 기술을 임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입니다. 또한, 다학제적 협력을 통해 새로운 치료법과 진단기술을 개발하고, 국내외 의료계에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중재적 진단방사선학을 통한 간세포암 치료
중재적 진단방사선학은 영상의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수행하는 첨단 의료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특히 간세포암과 같은 간질환 환자에서 중재적 시술을 통한 치료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간동맥 화학색전술(TACE), 약물방출구슬(DEB)을 이용한 색전술, 간동맥 항암주입화학요법(HAIC) 등 다양한 중재적 치료법의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약물방출구슬을 이용한 색전술과 기존의 리피오돌 기반 색전술의 비교, 간문맥 침범 간세포암 환자에서의 복합 치료법의 효과, 그리고 간동맥 항암주입화학요법의 적응증과 생존율 향상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영상진단기법(콘빔 CT, 다중검출기 CT 등)을 활용하여 치료 반응을 예측하고, 시술 후 합병증을 최소화하는 방법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간세포암 환자의 치료 성적을 높이고, 환자 맞춤형 치료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중재적 진단방사선학의 최신 기술을 임상에 적용하여, 간질환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영상의학 기반 중재시술의 기술 개발 및 임상 적용
본 연구실은 다양한 영상의학 기반 중재시술의 기술적 발전과 임상 적용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혈관 내 시술(예: 중심정맥포트 삽입, 혈관 스텐트, 혈전제거술, 색전술 등)과 비혈관계 중재시술(예: 담도 스텐트, 요관 스텐트, 복강 내 배액술 등)에 대한 새로운 기법을 개발하고, 그 효용성과 안전성을 임상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복잡한 해부학적 변이를 가진 환자에서의 시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카테터 및 기구의 개발, 시술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예방 및 관리법, 그리고 시술 후 환자 관리 프로토콜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좌측 내경정맥을 통한 중심정맥포트 삽입 시 어려운 해부학적 경로를 극복하기 위한 모노레일 테크닉, 신장 혈관 색전술에서 다양한 색전물질의 비교, 혈전성 정맥혈전증 환자에서의 수기적 혈전제거술의 임상적 유용성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중재시술의 성공률을 높이고, 환자의 시술 후 합병증을 줄이며, 전반적인 치료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최신 영상기술과 중재시술의 융합을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법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입니다.
1
Clinical Effects and Safety of Intra-Arterial Infusion Chemotherapy with Lipiodol versus Intra-Arterial Infusion Chemotherapy Alone for Treatment of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김수호, 오정석, 전창호, 천호종, 최병길
ONCOLOGY, 202504
2
Comparison of Small-Sized (70-150 μm) and Intermediate-Sized (100-300 μm) Drug-Eluting Embolics for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of Small Hepatocellular Carcinomas (≤3 cm)
오정석, 김명섭, 천호종, 김수호, 최병길
JOURNAL OF VASCULAR AND INTERVENTIONAL RADIOLOGY, 202411
3
Arterial-Portal Venous Shunt after Drug-Eluting Bead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Risk factors and Impact on Patient Survival
Phan Nhan Hien, 천호종, 오정석, 김수호, 최병길
ONCOLOGY, 202410
1
임상진료 데이터 관리기술 및 CDA 개발
보건산업진흥원
2006년 11월 ~ 2007년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