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력 시뮬레이션 & 디자인 연구실
항공우주공학과 김종암
공력 시뮬레이션 & 디자인 연구실(ASDL)은 전산유체역학(CFD) 시뮬레이션과 풍동 실험을 기반으로 항공우주 분야의 공력 해석 및 설계 최적화 연구를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고정밀 수치해석기법, 고차 정확도 다차원 제한 기법, 불연속 갤러킨(DG) 방법 등 첨단 전산유체역학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항공기, 로켓, 무인기, 초고속 비행체 등 다양한 시스템의 공력 해석 및 설계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GPU 및 병렬 컴퓨팅 환경에 최적화된 고성능 전산코드 개발을 통해 대규모 격자와 복잡한 형상, 다물리 현상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연구 분야는 공력성능 향상과 유동제어 기술 개발입니다. 와류 발생기, Synthetic Jet, 능동/수동 유동제어 장치 등 다양한 유동제어 기법을 실험적·수치적으로 연구하여, 박리 지연, 실속 억제, 추력 및 양력 증대 등 비행체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설계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풍동실험과 CFD 시뮬레이션을 병행하여 실험 데이터와 수치해석 결과의 상호 검증을 통해 신뢰성 높은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 있으며, 다학제간 접근을 통해 유체-구조 연성해석, 공력-구조-제어 통합해석 등 복합 물리 현상을 고려한 최적 설계 기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생체모방 날갯짓 비행체(FMAV) 개발과 다상유동 해석도 본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곤충이나 새의 날개 운동을 모사한 초소형 비행체의 비행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유연날개 구조의 유체-구조 연성해석을 통해 최적의 날개 형상과 운동 궤적을 설계합니다. 또한, 공동현상, 캐비테이션, 초공동 수중운동체, 액체로켓 탱크 내 유동 등 극한 환경에서의 다상유동 해석을 위한 고정밀 수치기법을 개발하여, 실제 해양, 우주, 국방 분야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기반의 수치해석 기법, 데이터 기반 설계 최적화, 오픈소스 고성능 해석기 개발 등 첨단 융합 연구를 통해 기존의 물리 기반 해석과 데이터 기반 모델링의 융합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설계 효율성과 성능 예측의 정확도를 한층 높이고 있으며, 산학연 협력 및 대형 국가 연구과제를 통해 실질적인 사회적·산업적 파급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공력 시뮬레이션 & 디자인 연구실은 고정밀 수치해석기법의 이론적 발전과 실용적 적용을 동시에 추구하며, 차세대 항공우주 시스템의 성능 혁신과 미래 비행체 설계의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는 연구를 지속할 것입니다.
Rocket Internal Flow Analysis
Cavitation Bubble Dynamics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고정밀 전산유체역학(CFD) 및 고차 정확도 수치기법 개발
본 연구실은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고정밀 수치해석기법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한체적법(FVM), 불연속 갤러킨(DG) 방법, 고차 정확도 다차원 제한 기법(MLP) 등 다양한 고차 수치기법을 연구하여, 복잡한 유동 현상과 충격파, 박리, 다상유동 등 다양한 물리 현상을 정밀하게 해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치기법은 항공우주, 기계, 에너지, 해양 등 다양한 공학 분야의 실제 문제에 적용되어, 기존의 해석 방법으로는 접근하기 어려운 난제들을 해결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GPU 및 병렬 컴퓨팅 환경에 최적화된 고성능 전산코드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대규모 격자와 복잡한 형상, 다물리 현상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오픈소스 고성능 해석기(예: Deneb) 개발을 통해 국내외 연구자들과의 협업 및 기술 확산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기반의 수치해석 기법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기존의 물리 기반 해석과 데이터 기반 모델링의 융합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항공기, 로켓, 무인기, 초고속 비행체 등 실제 비행체의 공력 해석 및 설계 최적화, 그리고 극한 환경에서의 유동 현상 예측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고정밀 수치해석기법의 이론적 발전과 실용적 적용을 동시에 추구하며, 차세대 공력 해석 및 설계 기술의 선도적 연구를 지속할 계획입니다.
공력성능 향상 및 능동/수동 유동제어 연구
본 연구실은 항공기, 무인기, 초소형 비행체 등 다양한 비행체의 공력성능 향상과 유동제어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와류 발생기(Vortex Generator), Synthetic Jet, 능동/수동 유동제어 장치 등 다양한 유동제어 기법을 실험적·수치적으로 연구하여, 박리 지연, 실속 억제, 추력 및 양력 증대 등 비행체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설계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S-duct, 람다익, UCAV 등 복잡한 형상에서의 유동 특성 분석과 최적화 설계를 통해 실제 항공기 엔진 흡입구, 고기동 비행체, 스텔스 무인기 등 다양한 응용 사례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풍동실험과 CFD 시뮬레이션을 병행하여, 실험 데이터와 수치해석 결과의 상호 검증을 통해 신뢰성 높은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학제간 접근을 통해 유체-구조 연성해석(FSI), 공력-구조-제어 통합해석 등 복합 물리 현상을 고려한 최적 설계 기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반 최적화, 데이터 기반 설계 등 첨단 기법을 도입하여, 설계 효율성과 성능 예측의 정확도를 한층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항공우주 시스템의 성능 혁신을 이끌고 있으며, 실제 산업체와의 공동연구, 국방·우주·에너지 분야의 국가 연구과제 등 다양한 프로젝트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공력성능 향상과 유동제어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지속하며, 미래 비행체 설계의 패러다임을 선도할 것입니다.
생체모방 날갯짓 비행체 및 다상유동 해석
본 연구실은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생체모방(Biomimetic) 날갯짓 비행체(FMAV) 개발과, 다상유동 및 극한 환경에서의 유동 해석에 대한 선도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곤충이나 새의 날개 운동을 모사한 초소형 비행체의 비행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유연날개 구조의 유체-구조 연성해석을 통해 최적의 날개 형상과 운동 궤적을 설계합니다. 이를 위해 2차원 및 3차원 FSI 시뮬레이션, 실험적 최적화, 비정형 기어 기반의 날갯짓 메커니즘 개발 등 다양한 접근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다상유동(예: 공동현상, 캐비테이션, 초공동 수중운동체, 액체로켓 탱크 내 유동 등) 해석을 위한 고정밀 수치기법을 개발하여, 극저온, 고압, 고속 등 극한 조건에서의 유동 특성을 정밀하게 예측하고 있습니다. 물리 기반 캐비테이션 모델, 비등·응축 상변화 모델, 인공지능 기반 유동 물성치 예측 등 첨단 기법을 적용하여, 실제 해양, 우주, 국방 분야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형 초소형 비행체, 수중운동체, 우주발사체 등 다양한 첨단 시스템의 설계와 운용에 필수적인 기반 기술을 제공하며, 국내외 산학연 협력 및 대형 국가 연구과제를 통해 실질적인 사회적·산업적 파급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생체모방 비행체와 다상유동 해석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선보일 예정입니다.
1
Generalized physics-based cavitation model encompassing multiple cavitation regimes
Lester Toledo, Kyungjun Choi, Hyunji Kim, Chongam Kim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2025.07
2
Digital twin model of in-line inspection systems for low-pressure, low-flow natural gas pipelines
Kwanghyun Yoo, Dae-Kwang Kim, Jae-Jun Kim, Seung-Ung Yang, Hui-Ryoung Yoo, HongSeok Song, Seungjoon Jang, Chongam Kim, Yutaek Seo, Dong-Kyu Kim
Gas Science and Engineering, 2025.02
3
A data-driven reconstruction for unstructured finite volume method on multi-dimensional compressible flows
Jayeon Joo, Dongseok Kim, Hojun You, Chongam Kim
Communications in Computational Physics, 2024.11
1
장경간 케이블교량 내풍구조 시스템 개발 -내풍단면 설계 전용 분산형 전산환경 개발
3
고체추진기관 유동-구조 3차원 통합해석 S/W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