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김태성 교수
울산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의 µFNM Lab(미세유체 및 나노메카트로닉스 연구실)은 미세/나노스케일에서의 유체역학, 물질 전달, 나노구조 제작 및 융합형 센서 시스템 개발을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마이크로/나노플루이딕스, 비정형 나노패브리케이션, 구조색 기반 기능성 소재, 나노메카트로닉스 등 다양한 첨단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목표는 랩온어칩, 고속 스크리닝, 고감도 센서, 에너지 변환, 바이오 및 환경 응용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인 미세/나노유체 플랫폼과 소재를 개발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3차원 미세/나노채널 네트워크, 퍼베포레이션 기반 나노공극, 가스 투과성 멤브레인, 다중 물리장 결합 등 독창적인 기술을 도입하여,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크랙-리소그래피, 주름-리소그래피, 액체 매개 패턴 형성 등 비정형 나노패브리케이션 기술을 통해 저비용, 고효율로 다양한 나노/마이크로 구조체를 제작하고, 구조색 필름, 위조방지 패턴, 생체모사 소재 등 차세대 기능성 소재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위조방지, 스마트 센서, 변환형 디스플레이, 바이오 이미징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나노메카트로닉스 및 융합형 센서 시스템 분야에서는 트라이보일렉트릭 나노제너레이터 기반 자가발전형 센서, 인공 신경 신호 제어 플랫폼, 웨어러블 전자소자, AI 기반 스마트 글러브 등 다양한 융합형 연구를 통해 미래형 스마트 디바이스, 의료기기, 로봇공학 등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µFNM Lab은 다학제적 융합 연구를 통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미래 첨단기술의 발전과 산업적 응용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 환경에서 다양한 배경의 연구자들이 함께 협력하여, 차세대 미세/나노기술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