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학교 전기공학과 장경욱 교수
장경욱 연구실은 전기전자재료 및 소자 분야에서 오랜 기간 축적된 연구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첨단 센서 및 유기 발광 소자(OLED)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와 금속 산화물 복합체를 활용한 고감도 가스 센서 개발, 웨어러블 환경 센서 응용, 그리고 센서의 열적 특성 해석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대기 오염 감지, 산업 안전, 환경 모니터링 등 실생활과 밀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실용적 기술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MOS-FET 구조의 MWCNT 가스 센서, 나일론 실 기반 웨어러블 센서 등 혁신적인 센서 구조를 개발하고, 전극 간극, 온도, 전압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센서의 감도 및 신뢰성 향상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유한요소법(FEM)과 같은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센서 내부의 열 분포와 열유동을 정밀하게 분석함으로써, 센서의 수명과 성능을 극대화하는 설계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유기 발광 소자(OLED) 및 관련 전기전자재료의 특성 연구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OLED의 전극 구조, 내장 전압, 주파수 의존 특성, 열 분포 등 소자의 근본적인 물리적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광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구조적 개선 방안을 연구합니다. ZnO, ITO, TiO2 등 다양한 산화물 박막의 합성 및 특성 평가를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에너지 소자, 센서 등 다양한 전자기기 분야에 적용 가능한 기반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연구실은 반도체 장비용 온도/통신 모듈, 진공 인터럽터 센서, 에칭 장비용 수소가스 센서 등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용적 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산학협력 및 다양한 연구 과제를 통해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국내외 학술대회 및 저명 학술지에 다수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장경욱 연구실은 전기전자재료, 센서, 소자 분야의 융합 연구를 통해 미래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활동은 차세대 전자기기, 환경 모니터링, 스마트 디바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