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이종대 교수
이종대 연구실은 화학공학을 기반으로 첨단 에너지 소재와 환경 소재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는 연구실입니다. 특히 리튬이온전지용 고성능 음극 소재, 촉매 및 활성탄 소재, 그리고 다양한 복합소재의 합성 및 응용에 대한 폭넓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실리콘, 흑연, 탄소, CNT 등 다양한 소재의 복합화와 나노 구조 제어를 통해 이차전지의 용량, 효율, 수명 등 핵심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석유계 피치, 폐플라스틱(PET) 등 다양한 탄소 전구체를 활용하여 경제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전기방사, 수열합성, 마그네슘 열 환원법 등 첨단 합성 공정을 도입하여 소재의 미세 구조와 전기화학적 특성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이를 통해 초기 효율, 충·방전 용량, 사이클 수명, 율속 특성 등 다양한 성능 지표에서 우수한 결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에너지 변환 및 환경 정화에 필수적인 촉매와 활성탄 소재 개발에도 큰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메탄의 수증기 개질 및 부분 산화, 합성가스 제조, 수소 생산 등 다양한 에너지 변환 반응에서 높은 효율과 내구성을 갖는 금속 촉매를 개발하고, 폐플라스틱 및 석유계 잔사유로부터 고비표면적 활성탄을 합성하여 반도체 공정, 공기청정, 수처리 등 환경 분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종대 연구실은 국내외 기업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이전 및 실용화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다양한 정부 및 산업체 과제를 수행하며 실질적인 산업적 파급 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고용량·고출력 이차전지의 상용화, 에너지 효율 향상, 환경 오염 저감 등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앞으로도 첨단 소재의 혁신적 개발과 실용화, 그리고 지속가능한 에너지·환경 기술 창출을 목표로, 융합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를 지속해 나갈 계획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