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호연 연구실
한의학과 고호연
고호연 연구실은 한의학적 내과 질환의 진단, 치료, 임상적 근거 확립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사상체질의학, 한방내과(심계), 순환신경내과 등 한의학 내과 전반에 걸친 진단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성 검증, 임상적 적용 가능성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의학적 진단의 표준화와 객관화, 그리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만성질환(편두통, 어깨통증, 아토피피부염, 수족냉증 등)과 여성 건강(월경통, 폐경기 장애, 불임 등)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법의 임상적 효과와 기전을 다각도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한약, 침, 뜸, 부항 등 다양한 한의학적 치료법의 임상시험을 통해 만성 통증, 혈액순환 장애, 냉증, 피부질환, 신경계 질환 등에서의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의학적 진단과 현대의학적 지표(혈액검사, 생체지표 등)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통합의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임상 설문조사, 다기관 임상시험, 대규모 코호트 연구 등을 통해 한의학적 변증, 한약 처방, 한의치료의 실제 적용 현황과 환자 만족도, 삶의 질 개선 효과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한의학이 만성질환과 여성 건강 분야에서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치료 대안임을 입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한의학 내과 질환의 진단 및 치료 표준화,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고호연 연구실은 한의학적 내과 질환의 과학적 근거 확립과 임상적 활용 확대, 만성질환 및 여성 건강 증진을 위한 한의학적 치료법의 임상적 근거 확립과 표준화, 그리고 환자 중심의 맞춤형 의료 실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Preventive Medicine
MEDICAL DEVICES
Herbal Medicine
한의학적 내과 질환 진단 및 치료 연구
본 연구실은 한의학적 내과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상체질의학, 한방내과(심계), 순환신경내과 등 다양한 내과적 질환을 한의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진단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상체질분류검사(QSCCII) 및 단축형 사상체질 진단 설문(KS-15)과 같은 진단 도구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임상적 적용 가능성 등을 다각도로 연구하여 한의학적 진단의 표준화와 객관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한의학적 진단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내과 질환(예: 만성 기관지염, 뇌졸중, 만성 요통, 변비, 간기능 이상 등)에 대한 임상 연구와 증례 보고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의학적 변증과 치료 효과, 환자별 맞춤형 처방의 임상적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를 포함합니다. 또한, 한의학적 진단과 현대의학적 지표(예: 혈액검사, 생체지표 등)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통합의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의학 내과 질환의 진단 및 치료 표준화,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한의학적 내과 질환의 과학적 근거 확립과 임상적 활용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한의학 기반 만성질환 및 여성 건강 연구
본 연구실은 만성질환(편두통, 어깨통증, 아토피피부염, 수족냉증 등)과 여성 건강(월경통, 폐경기 장애, 불임 등)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법의 임상적 효과와 기전을 다각도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약(계지복령환, 조등산, 오적산 등)과 침치료, 뜸, 부항 등 다양한 한의학적 치료법의 임상시험을 통해 만성 통증, 혈액순환 장애, 냉증, 피부질환, 신경계 질환 등에서의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여성의 수족냉증, 폐경기 장애, 월경통, 불임 등 생애주기별 건강 문제에 대한 한의학적 접근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임상 설문조사, 다기관 임상시험, 대규모 코호트 연구 등을 통해 한의학적 변증, 한약 처방, 한의치료의 실제 적용 현황과 환자 만족도, 삶의 질 개선 효과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의학적 치료가 여성 건강 증진에 미치는 영향과 안전성, 그리고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의학이 만성질환과 여성 건강 분야에서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치료 대안임을 입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만성질환 및 여성 건강 증진을 위한 한의학적 치료법의 임상적 근거 확립과 표준화, 그리고 환자 중심의 맞춤형 의료 실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1
Effect of herbal medicine (Jodeungsan) on migraine: A double-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Kim Seyoung, Seo Jihye, Kim Cheol-hyun, Sung Hyun-Kyung, Go Ho-Yeon, Jung Woo Sang, Kwon Seungwon, Kwak Minjung, Lee Sangkwan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202212
2
Metabolomic analysis of Gyejibongnyeong-Hwan for shoulder pain: A randomized, wait-list controlled pilot trial
Ko Mi Mi, Jung Jeeyoun, Lee Jung-Eun, Shin Seon Mi, Sung Hyun-Kyung, Go Ho-Yeon, Jang Soobin
PHYTOMEDICINE, 202209
3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Migraine Headach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o Ho-Yeon, Bae Ji-yong, Kim Tae-jeong, Kwon Na-Yoen, Lee Sangkwan, Shin Seon-Mi, Sung Hyun-Kyung
MEDICINA-LITHUANIA, 202201
1
계지복령환의 어혈 동반 고지혈증 위험군 치료 유효성 평가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