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Composites & Mechanics Lab

전남대학교 기계공학부

이원오 교수

Nonlinear Material Characterization

Textile-based Wearable Electronics

Fiber-Reinforced Composites

Composites & Mechanics Lab

기계공학부 이원오

Composites & Mechanics Lab(복합재 및 역학 연구실)은 기계공학 기반의 융합적 연구를 통해 금속, 유기/고분자 구조재료, 섬유강화 복합재, 첨단 섬유/텍스타일, 나노카본 소재 등 다양한 비탄성 재료의 역학적 거동과 기능성 구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구성방정식 모델링, 성형성 및 스프링백 예측, 최적 성형 공정 설계 등 복합재의 구조적·기능적 성능 향상을 위한 이론적·실험적 연구를 폭넓게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텍스타일 복합재 및 나노복합재의 비선형, 비등방성, 결합 거동을 정밀하게 해석하기 위한 다중 스케일 모델링과 유한요소해석(FEM) 기반의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자동차, 항공우주,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경량화 및 고기능화 구조 부품의 신뢰성 향상과 생산성 증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나노카본(그래핀, CNT 등) 및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소재의 표면 및 계면 제어를 통한 기능성 복합재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카테콜아민(도파민) 기반의 생체모사 화학을 활용하여 섬유 및 나노소재의 계면 특성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고습윤성, 고접착성, 다기능성을 구현합니다. 이러한 계면 제어 기술은 에너지 저장 전극, 유연 전자소자, 센서 등 다양한 첨단 응용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3차원 다공성 나노카본 구조체,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하이브리드, 폴리도파민 코팅 등 혁신적 합성 및 조립 기술을 바탕으로, 스트레처블 와이어형 슈퍼커패시터, 텍스타일 기반 유연 전자소자, 광센서, 바이오센서 등 차세대 웨어러블 및 에너지 소자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고온·극저온·우주·심해 등 극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고기능성 복합재료의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는 국내외 산학연 협력 및 다수의 특허·논문·기술이전 성과로 이어지고 있으며, 미래 에너지, 스마트 섬유, 환경·바이오 센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혁신적 응용이 기대됩니다. COMEL은 복합재 및 역학 분야의 학술적·산업적 발전을 선도하는 연구실로, 차세대 소재 및 시스템 개발을 위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Nonlinear Material Characterization
Textile-based Wearable Electronics
Fiber-Reinforced Composites
섬유강화 복합재 및 나노복합재의 역학적 모델링과 최적 설계
본 연구실은 섬유강화 복합재 및 나노복합재의 역학적 거동을 정밀하게 해석하고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모델링 기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텍스타일 복합재, 열가소성/열경화성 복합재, 그리고 다기능성 마이크로/나노 복합재의 비선형, 비등방성, 결합 거동을 다루는 구성방정식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복합재의 성형성, 스프링백, 최적 성형 공정 설계 등 실제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험적 특성 평가와 유한요소해석(FEM) 기반의 수치 시뮬레이션을 병행하여 진행되며, 자동차, 항공우주,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의 구조용 경량화 및 고기능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텍스타일 프리폼, 프리프레그, 시트 메탈 등 다양한 소재와 공정 조건에서의 성형 거동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상 성형 이론 및 역설계 기법을 적용하여 최적의 초기 형상과 공정 조건을 도출합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델과 설계 기술은 실제 산업체와의 협력 프로젝트 및 국가 연구과제에 적용되어, 고성능 복합재 부품의 신뢰성 향상과 생산성 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차세대 복합재 설계 및 제조 기술의 선도적 발전을 이끌고 있으며, 관련 분야의 학술적·산업적 파급효과가 매우 큽니다.
기능성 나노카본 및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소재 개발과 에너지·센서 응용
본 연구실은 나노카본(그래핀, CNT 등) 및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소재의 표면 및 계면 제어를 통한 기능성 복합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카테콜아민(도파민) 기반의 생체모사 화학을 활용하여 섬유 및 나노소재의 계면 특성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고습윤성, 고접착성, 다기능성을 구현합니다. 이러한 계면 제어 기술은 섬유/매트릭스 계면 강화,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 전극, 고성능 센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3차원 다공성 나노카본 구조체, 그래핀/금속 나노입자 하이브리드, 폴리도파민 코팅 등 혁신적 합성 및 조립 기술을 바탕으로, 스트레처블 와이어형 슈퍼커패시터, 텍스타일 기반 유연 전자소자, 광센서, 바이오센서 등 차세대 웨어러블 및 에너지 소자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고온·극저온·우주·심해 등 극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고기능성 복합재료의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소재의 기본 물성 향상뿐만 아니라, 실제 응용을 위한 시스템 통합 및 대면적 공정 기술까지 포괄하며, 국내외 산학연 협력 및 다수의 특허·논문·기술이전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래 에너지, 스마트 섬유, 환경·바이오 센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혁신적 응용이 기대됩니다.
1
Biased dual‑exfoliation technique with expanded graphite for high‑quality few‑layer graphene sheets in electrochemical exfoliation
Sungmook Lim, Niranjanmurthi Lingappan, Wonoh Lee*
CARBON LETTERS, 2025.05
2
Optimal ventilation strategies by artificial intelligence for gaseous materials reduction in livestock building
Woo Young Cho, Sung-Hak Kim, Hyun-Chae Na, Wonoh Lee, Hyun Wook Kang*
COMPUTERS & ELECTRONICS IN AGRICULTURE, 2025.04
3
Piezoelectric cellulose/poly(vinylidene fluoride) glycerogels with synergistically enhanced energy output for wide temperature range
Md. Tariful Islam Mredha, Rumesh Rangana Manimel Wadu, Shuangpeng Li, Adith Varma Rama Varma, Tanish Gupta, Wonoh Lee, Chunli Zhang, Weiqiu Chen, Insu Jeon*
ENERGY MATERIALS, 2025.03
1
Shape-morphing Clay Plasticity Rechargeable Batteries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21년 06월 ~ 2024년 02월
2
Highly conductive graphene hybrid by surface modification of graphene oxid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6년 06월 ~ 2021년 09월
3
Multi-scale Carbon Fiber Composites for Energy Storable Automotive Bod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8년 03월 ~ 2021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