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혈관성 치매의 발병과 증상 발현에서 뇌내 아연 항상성 이상의 다면적 역할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3년 04월 - 2023년 05월
2
다발성 경화증 동물모델에서 아연향상성 조절 기반 케미칼 화합물의 효력평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2년 07월 - 2023년 06월
3
집속 초음파를 이용한 아연의 분비조절이 노화 및 외상성뇌손상 후 발생하는 신경세포발생 및 인지기능장애 극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2022년 03월 - 2023년 02월
4
다발성 경화증 동물모델에서 아연향상성 조절 기반 케미칼 화?물의 효력평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2년 - 2022년 06월
5
아연 독성 제어를 통한 신경손상 억제 및 신경발생 촉진 효과 연구
한국연구재단
2021년 - 2021년 12월
6
아캄프로세이트 투여에 의한 아연의 농도변화가 외상성 뇌손상으로 인한 신경세포 사멸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2020년 03월 - 2020년 10월
7
아연 (Zinc)이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으로 인해 발생하는 척수 백색질의 손상과 행동장애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2014년 12월 - 2015년 11월
8
상황버섯 추출물로부터 뇌졸중 후 발생하는 신경세포 손상 억제물질 개발
중소기업청
2013년 12월 - 2014년 11월
9
지방세포 기원 인간중배엽줄기세포 투여가 저혈당으로 인한 신경세포 손상 억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3년 08월 - 2014년 07월
10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세포 사멸에 NADPH oxidase억제제가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1년 06월 - 2012년 0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