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Functional Thin Films Lab (FTFL)

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공학대학원-생명화학공학과

임성갑 교수

Synaptic Transistors

Solid-State Batteries

Functional Polymer Thin Films

Functional Thin Films Lab (FTFL)

반도체공학대학원-생명화학공학과 임성갑

FTFL(Functional Thin Films Lab)은 기상 합성 기반의 기능성 고분자 박막(iCVD, sCVD 등) 기술을 중심으로, 차세대 에너지·전자소자, 바이오·의료기기, 환경·에너지 소재 등 다양한 융합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initiated chemical vapor deposition(iCVD) 등 독자적 박막 합성 기술을 바탕으로, 기존 용액 공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초박막·고순도·균일한 고분자 박막을 다양한 기판 및 3차원 구조체에 손상 없이 증착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해왔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고유전율·신축성·내구성·고굴절률·항균·항오염·생체적합성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고분자 박막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차세대 이차전지, 리튬-황 배터리, 트리보일렉트릭 나노발전기, 유기 플래시 메모리, 3D 적층형 집적회로, 신경모방 소자, 웨어러블 전자소자, 바이오센서, 진단칩, 의료기기 등 첨단 소자 및 시스템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재의 조성, 두께, 구조, 표면 특성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기존 무기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유연성·신축성·저전력·고성능 등 차세대 소자에 요구되는 특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 및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항균·항오염·항바이러스 코팅, 세포/조직공학용 표면 개질, 성장인자 고정화, 줄기세포/신경세포/암세포 스페로이드 플랫폼, 진단용 바이오칩 표면 개질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신속·정확한 분자진단, 세포치료제 생산, 조직재생, 감염병 예방 등 실질적 의료·바이오 혁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콘택트렌즈, 인공수정체, 카테터, 임플란트 등 다양한 의료기기에 적용 가능한 항균·비독성 박막, PCR 튜브 및 마이크로칩의 핵산 추출·진단용 표면 개질, 3D 조직공학용 스캐폴드 등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FTFL은 소재 합성에서부터 소자 제작, 대면적·대량생산 공정 개발, 실제 산업적 응용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며, 다양한 국내외 산학연 협력 및 융합 연구를 활발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수의 특허, 논문, 기술이전, 산학협력 프로젝트, 국제 학술대회 발표 등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고 있으며, 차세대 융합소재 및 소자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앞으로도 기상 합성 기반의 기능성 박막 기술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차세대 에너지·전자·바이오·환경 소재 및 소자 개발을 통해 미래 산업과 인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Synaptic Transistors
Solid-State Batteries
Functional Polymer Thin Films
기상 합성 기반 기능성 고분자 박막(iCVD) 기술 및 응용
기상 합성 기반 기능성 고분자 박막, 특히 initiated chemical vapor deposition(iCVD) 기술은 본 연구실의 핵심 연구 분야입니다. iCVD는 다양한 단량체를 이용해 고순도, 초박막, 균일한 고분자 박막을 저온·무용매 환경에서 증착할 수 있는 혁신적인 공정입니다. 이 기술은 기존의 용액 공정에서 발생하는 잔류 용매, 기판 손상, 두께 및 조성의 불균일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며, 나노·마이크로 구조체, 유연 기판, 3차원 복잡 구조 등 다양한 표면에 손상 없이 기능성 박막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iCVD를 통해 합성된 고분자 박막은 절연막, 바이오소재, 방오·방수 코팅, 접착제, 센서, 에너지 소자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초박막 고유전율 절연막, 신축성 및 내구성을 갖춘 전자소자용 박막, 항균·항바이러스·항오염 기능을 갖춘 의료기기 표면 코팅, 바이오칩 및 진단용 마이크로플루이딕스 표면 개질 등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iCVD는 고분자 조성의 정밀 제어가 가능하여, 표면 에너지, 전하, 생체적합성, 기계적 특성 등 다양한 기능을 맞춤형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iCVD 공정의 원천기술 고도화와 더불어, 이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전자소자, 바이오소재, 에너지 소재, 환경 소재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면적·대량생산 공정 개발, 다층구조 및 조성 그라디언트 박막 합성, 나노패터닝 및 3차원 구조 적용 등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에너지 및 전자소자용 고기능성 박막 소재 개발
본 연구실은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이차전지, 리튬-황 배터리 등), 유연/신축성 전자소자, 유기 트랜지스터, 플래시 메모리, 신경모방 소자(뉴로모픽), 센서 등 첨단 소자에 적용 가능한 고기능성 박막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유전율·초박막 절연막, 신축성·내구성 절연체, 고굴절률·투명 고분자, 항균·항오염 코팅, 바이오적합성 박막 등 다양한 기능성 소재를 기상 합성(iCVD, sCVD 등) 기반으로 구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리튬-황 배터리의 수명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분자 나노층을 이용한 셀 분리막 및 전극 표면 개질, 고에너지 밀도·고출력·장수명 배터리용 고분자 전해질 및 계면 안정화 기술, 트리보일렉트릭 나노발전기(TENG)용 신축성·고전하 고분자 소재, 유기 플래시 메모리 및 논리회로용 초박막 절연막, 3차원 적층형 유기 집적회로용 금속 인터커넥트 및 절연체, 신경모방 소자용 라디칼 고분자 및 이온성 고분자 등 다양한 소재 및 소자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소재의 조성, 구조, 두께, 표면 특성 등을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기존 무기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유연성·신축성·내구성·저전력·고성능 등 차세대 소자에 요구되는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혁신적 소재를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실제 소자 제작 및 대면적 집적, 산업적 대량생산 공정과의 연계, 다양한 융합 응용(웨어러블, 바이오, 에너지, 환경 등)까지 연구 범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바이오 및 의료기기용 표면 개질 및 기능성 바이오소재
본 연구실은 바이오 및 의료기기 분야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표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기상 합성 기반의 기능성 고분자 박막을 활용한 표면 개질 및 바이오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항균·항바이러스·항오염(anti-fouling) 코팅, 생체적합성·비독성 박막, 세포 접착성/비접착성 조절, 성장인자 고정화, 줄기세포/신경세포/조직공학용 3D 스캐폴드, 진단용 바이오칩 표면 개질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항균성 고분자 박막을 콘택트렌즈, 인공수정체, 의료용 카테터, 임플란트 등에 적용하여 장기간 항균 효과와 생체적합성을 동시에 확보하였으며, 초박막 항오염 코팅을 통해 의료기기 및 진단칩의 오염 방지와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표면 에너지 및 화학적 기능 조절을 통해 줄기세포, 신경세포, 암세포, 면역세포 등 다양한 세포의 성장, 분화, 집합체(스페로이드) 형성, 3D 조직공학 등에 최적화된 표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칩 및 진단용 마이크로플루이딕스, PCR 튜브, 마이크로칩 등에서 DNA/RNA 추출, 세포 분리, 단백질 고정화 등 핵심 바이오 기능을 구현하는 표면 개질 기술을 개발하여, 신속·정확한 분자진단, 감염병 진단, 질병 모델링, 세포치료제 생산 등 다양한 바이오·의료 응용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1
Tailored Polymer-Based SEI via iCVD for Stable Zinc Metal Anodes in Aqueous Batteries through Modulation of Hydrophilicity and Elasticity to Inhibit Hydrogen Evolution Reactions
Jaeyeon Lee, Moonwon Lee, Boyeon Kim, Hyunjin Jung, Kanghoon Yim, Myunghyun Ryu, Gi Su Doo, Jae-Hak Choi, Jiyun Heo, Sung Gap Im, Kyu-Nam Jung, Myung Seok Oh*, Jinhong Lee*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25
2
Enhanced Glioblastoma-Targeted Aptamer Discovery by 3D Cell-SELEX with Hyaluronic Acid Hydrogel
Jeong Yeon Kim†, Hyewon Chang†, Jemin Yeun, Jieung Baek*, Sung Gap Im*
ACS Bio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2025
3
Photoinitiated CVD antifouling coatings enable long-term stability of flexible multifunctional neural probes for chronic neural recording
Yunyoung Choi†, Woojin Jeon†, Yeji Kim, Hakchun Kim, Younghak Cho, Yerim Jang, Somin Lee, Daehun Kim, Tae Jin Mun, Youngmin Yoo, Inhee Choi, Sung Gap Im, Seongjun Park*, Hyejeong Seong*
Biomaterials, 2025
1
신축성 초박막 고분자 절연 소재 합성을 통한 신축성 전자소자 구현 및 집적도 향상(김주찬)
한국연구재단
2025년 ~ 2025년 06월
2
iCVD 공정 기반 무용해 무손상 코팅을 통한 멸균 코팅 기술의 고도화(2024년도)
한국과학기술원
2024년 06월 ~ 2024년 12월
3
(통합EZ)인구절벽 해결형 K-정자 AI 선별 시스템(2024년도)
한국연구재단
2024년 04월 ~ 2024년 0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