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KAIST OOEM 연구실

한국과학기술원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탄소중립기술시스템

정희태 교수

Hydrogen-Substituted Graphdiyne

Gas Sensors

MXene Composite Nanostructures

KAIST OOEM 연구실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탄소중립기술시스템 정희태

KAIST 유기광전자재료 연구실(OOEM Lab)은 나노구조체 기반의 첨단 소재 및 소자 개발을 선도하는 연구실로, 기후변화 대응, 차세대 에너지, 환경, 광전자 및 센서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저분자 및 고분자 나노소재의 설계와 합성, 그리고 하향식(top-down) 및 상향식(bottom-up) 나노패터닝 기술을 융합하여,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는 혁신적인 나노구조체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액정 자기조립, 초분자 덴드리머, 블록공중합체, 이차 스퍼터링 리소그래피 등 다양한 나노패터닝 기법을 활용하여, 촉매, 분리막, 센서, 광전자 소자 등 실질적 응용이 가능한 고성능 소재를 대면적으로 제작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대표 연구 분야 중 하나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첨단 나노소재 개발입니다. 이산화탄소의 전기화학적 전환 및 활용, 해수 담수화용 고투과성/고선택성 분리막, 고감도 가스센서 등 환경 및 에너지 문제 해결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다양한 소재와 소자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밀도 스텝사이트를 갖는 구리 기반 촉매, 다성분계 나노입자 합성, MXene 기반 전극 및 센서 등은 이산화탄소의 고효율 전환, 수질 정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산 등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 다른 핵심 연구 분야는 차세대 광전자 소자 및 고감도 센서 개발입니다. 유기 및 무기 나노소재의 독특한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나노패터닝, 자기조립, 표면 개질 등 다양한 공정기술을 융합하여 새로운 기능성 구조체를 설계합니다. 이러한 나노구조체는 양자점 디스플레이, 유기태양전지, 광센서, 전자코(e-nose), 호흡분석용 VOC 센서,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 기반 신호 분석 및 딥러닝을 접목한 초고감도 신호 검출 시스템도 개발하여, 기존 센서의 한계를 뛰어넘는 성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이론적 설계, 합성, 공정, 소자 제작, 신호 분석까지 전주기적 연구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국내외 산학연 협력 및 다수의 특허, 논문, 기술이전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국가 및 국제 연구과제, 산업체 공동연구,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통해 연구성과의 실용화와 사회적 파급효과 창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처럼 KAIST OOEM 연구실은 나노기술 기반의 융합적 접근을 통해, 기후변화, 에너지, 환경, 첨단 디바이스 등 다양한 미래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혁신적인 나노소재 및 소자 개발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와 산업적 가치 창출에 앞장설 것입니다.

Hydrogen-Substituted Graphdiyne
Gas Sensors
MXene Composite Nanostructures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첨단 나노소재 개발
우리 연구실은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첨단 나노소재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이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됨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전환 및 활용, 수질 정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나노소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저분자 및 고분자 기반의 나노구조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대응에 최적화된 소재를 설계하고 합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하향식(top-down) 및 상향식(bottom-up) 나노패터닝 기술을 융합하여,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나노구조체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액정의 결함 제어, 유기 초분자 자기조립, 이차 스퍼터링 리소그래피 등 다양한 나노패터닝 기법을 활용하여, 촉매, 분리막, 센서 등 실질적 응용이 가능한 고성능 나노소재를 대면적으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이산화탄소 전기화학적 전환, 수처리용 고효율 분리막, 고감도 가스센서 등 다양한 환경 및 에너지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대표적인 성과로는, 이산화탄소를 에탄올, 에틸렌 등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전환하는 고효율 전기촉매 개발, 해수 담수화용 고투과성/고선택성 분리막, 기후변화 감시 및 안전진단용 고감도 전자센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실질적 기술 혁신에 기여하며, 산업 현장과의 연계를 통해 사회적 파급효과도 창출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고성능 광전자 소자 및 센서용 나노구조체
본 연구실은 차세대 광전자 소자 및 고감도 센서 개발을 위한 나노구조체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유기 및 무기 나노소재의 독특한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나노패터닝, 자기조립, 표면 개질 등 다양한 공정기술을 융합하여 새로운 기능성 구조체를 설계합니다. 예를 들어, 액정 및 초분자 덴드리머의 자기조립을 이용한 5 nm 이하의 고해상도 패턴, 블록공중합체 기반의 나노가이드 패턴, 이차 스퍼터링을 활용한 다성분계 나노패턴 등은 기존 반도체 및 센서 제조공정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 접근법입니다. 이러한 나노구조체는 고성능 광전자 소자(예: 양자점 디스플레이, 유기태양전지, 광센서) 및 초고감도 화학/생체 센서(예: 호흡분석용 VOC 센서, 수소/암모니아/이산화탄소 감지 센서, 바이오센서) 개발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구조의 표면 및 계면 제어를 통해 선택적 분자 인식, 신호 증폭, 노이즈 저감 등 센서의 핵심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반 신호 분석 및 딥러닝을 접목하여, 기존 센서의 한계를 뛰어넘는 초고감도 신호 검출 시스템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성과로는, MXene, 그래핀, 금속산화물 등 다양한 2차원 소재를 활용한 고신뢰성 센서, 나노패턴 기반의 전자코(e-nose) 시스템, 광추출 효율을 극대화한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광학 구조체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형 스마트 디바이스, 환경·의료 모니터링, 산업용 안전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1
Atomic Layer-Modified 3D Pd Nanochannels for High-Performance Hydrogen Sensing
Ahyeon Cho, Hojin Kang, Youngwook Cho, Hee-Tae Jung*, Heeyeop Chae*, Soo-Yeon Cho*
ACS Sensors, 2025
2
From prediction to synthesis: DFT-active learning-guided design of multimetallic catalysts for hydrogen evolution
Minhee Park, Minki Kim, Yesol Kim, Seung Jae Kwak, Woo-Bin Jung*, Hee-Tae Jung*, Won Bo Lee*, YongJoo Kim*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25
3
Highly ordered and high-aspect-ratio Au nanopatterns directly fabricated on Cu for efficient anode-less Li metal batteries
Hyunju Jung, Hee-Tae Jung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2025
1
(통합EZ)(김주예)(1/1차년도)전하 환경에서의 기계학습과 그랜드 캐노니컬 계산화학을 통한 전기화학적 양성자 이동경로 및 전극-전해질 계면에서의 역학 연구(2024년도)
한국연구재단
2024년 09월 ~ 2025년 08월
2
(RCMS)나노소재 공정 기반 에너지 저장 글로벌 혁신 인재양성(2024년도)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24년 05월 ~ 2025년 04월
3
(통합EZ)다성분계 나노구조체 기반 체성분 감지 고성능 웨어러블 바이오 전자소자 개발(2024년도)
한국연구재단
2024년 05월 ~ 2025년 0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