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전산나노소재 연구실

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이동화 교수

전산나노소재 연구실

신소재공학과 이동화

전산나노소재 연구실은 첨단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여 신소재의 설계, 예측, 최적화에 중점을 두고 있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물리적, 화학적 원리에 기반한 다양한 계산 방법론을 활용하여, 원자 및 나노 스케일에서 소재의 구조와 물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분자동역학, 범밀도 함수 이론(DFT), 다체 제일원리 이론 등 첨단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실험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미시적 현상을 규명하며, 신소재 개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멀티스케일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여 나노에서 메조, 연속체 스케일까지 소재의 거동을 통합적으로 해석합니다. 이를 통해 소재의 구조, 결함, 계면, 전기적·기계적·자기적 특성 등 다양한 물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고성능 컴퓨팅 자원과 자체 개발한 클러스터를 활용하여 대규모 데이터 기반의 시뮬레이션을 신속하게 수행하며, 실험과 계산을 융합한 혁신적 연구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최근 기계학습과 인공지능(AI)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신소재 개발의 속도와 효율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대규모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실험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소재의 물성 예측, 조성 설계, 결함 제어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딥러닝, 그래프 신경망, 베이지안 추론 등 첨단 AI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소재의 구조-물성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규명하고, 데이터 마이닝 및 자동화된 연구데이터 수집 플랫폼을 개발하여 고속대량 스크리닝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반도체, 에너지 저장·변환, 촉매, 센서, 메모리 소자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요구되는 신소재의 설계와 최적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항변화 메모리(ReRAM), 차지트랩 메모리, 멤리스터 등 차세대 메모리 소자 개발에 필요한 소재의 구조-물성-소자 성능 상관관계를 심층적으로 연구하며, 실리콘, 페로브스카이트, 고엔트로피 합금 등 다양한 소재 시스템을 대상으로 혁신적 소자 기술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전산나노소재 연구실은 실험과 계산, 인공지능 기반 예측을 융합한 종합적 연구 전략을 통해, 미래 에너지 및 반도체 산업을 선도할 혁신적 소재와 소자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산학연 협력을 통한 실제 산업 현장 적용, 그리고 국내외 연구 네트워크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소재 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전산 기반 나노소재 설계 및 멀티스케일 시뮬레이션
전산나노소재 연구실은 물리적, 화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신소재의 물성을 예측하고, 이를 다양한 에너지 및 전자기술에 최적화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분자동역학, 모델 헤밀토니언, 범밀도 함수 이론(DFT), 다체 제일원리 이론 등 첨단 계산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원자 및 나노 스케일에서의 소재 거동을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실험적으로 얻기 어려운 미시적 정보를 제공하며, 신소재 개발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특히, 연구실은 멀티스케일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여 나노 스케일에서부터 메조 및 연속체 스케일까지 소재의 특성을 통합적으로 해석합니다. 이를 통해 소재의 구조, 결함, 계면, 전기적·기계적·자기적 특성 등 다양한 물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성능 컴퓨팅 자원과 자체 개발한 클러스터를 활용하여 대규모 데이터 기반의 시뮬레이션을 신속하게 수행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반도체, 에너지 저장·변환, 촉매, 센서, 메모리 소자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요구되는 신소재의 설계와 최적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실험과 계산을 융합한 혁신적 연구 전략을 통해, 소재 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기계학습 및 인공지능 기반 신소재 개발
최근 전산나노소재 연구실은 기계학습과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하여 신소재 개발의 속도와 효율을 극대화하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실험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소재의 물성 예측 및 최적화, 조성 설계, 결함 제어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특히, 멀티스케일 시뮬레이션 결과와 머신러닝 모델을 결합함으로써, 기존의 계산과학적 한계를 극복하고 신속한 소재 탐색이 가능해졌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딥러닝, 그래프 신경망, 베이지안 추론 등 첨단 AI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소재의 구조-물성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규명합니다. 또한, 데이터 마이닝 및 자동화된 연구데이터 수집 플랫폼을 개발하여, 방대한 소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고속대량 스크리닝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반도체, 에너지, 바이오, 구조재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되는 맞춤형 신소재의 설계와 실용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AI 기반 신소재 개발은 실험 데이터의 부족, 계산 자원의 한계 등 기존 소재 연구의 병목을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 방법론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산나노소재 연구실은 이 분야에서 국내외 선도적 위치를 확보하고 있으며, 산학연 협력을 통해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에너지 및 반도체 응용을 위한 소재 특성평가와 혁신적 메모리 소자 개발
연구실은 차세대 에너지 변환·저장 소재, 반도체 및 메모리 소자 개발을 위한 소재 특성평가와 혁신적 소자 설계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밀도범함수이론(DFT) 기반의 계산과 실험적 특성평가를 결합하여, 소재의 에너지 안정성, 전기적·자기적·기계적 특성, 결함 구조, 이온 전도도 등 다양한 물성을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고효율 태양전지, 이차전지, 연료전지, 촉매, 센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합한 신소재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저항변화 메모리(ReRAM), 차지트랩 메모리, 멤리스터 등 차세대 메모리 소자 개발에 필요한 소재의 구조-물성-소자 성능 상관관계를 심층적으로 연구합니다. 실리콘, 페로브스카이트, 고엔트로피 합금 등 다양한 소재 시스템을 대상으로, 원자 수준에서의 결함 제어와 계면 공학, 이온 이동 메커니즘 등을 규명하여 소자의 내구성, 신뢰성, 집적도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연구실은 실제 소자 제작 및 평가, 산업체와의 협력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실험과 계산, AI 기반 예측을 융합한 종합적 연구 전략을 통해, 미래 에너지 및 반도체 산업을 선도할 혁신적 소재와 소자 기술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1
Unveiling the impact of short-range order of Si-Si dimer in 2D Si2Te3 from First-Principles Calculations
June Ho Lee, Jaeseon Kim, Youngjun Park, Yonghun Shin, Eun Ho Kim, Donghwa Lee*
Small Struct., 202504
2
Boosting–crystal grap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predicting highly imbalanced data: a case study for metal-insulator transition materials
Eun Ho Kim, Jun hyeong Gu, June Ho Lee, Seong Hun Kim, Jaeseon Kim, Hyo Gyeong Shin, Shin Hyun Kim, Donghwa Lee*
ACS Appl. Mater. Interfaces, 202409
3
First-Principles Investigations on Semiconductor-to-Metal Phase Transition of 2D Si2Te3 for Reversible Resistive Switching
Jaeseon Kim, June Ho Lee, Seong Hun Kim, Youngjun Park, Unyong Jeong, Donghwa Lee*
ACS Appl. Mater. Interfaces, 202304
1
IN-MEMORY 컴퓨팅용 강유전체 개발을 위한 전주기 AI 기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07월 ~ 2024년 12월
2
「소재 연구데이터 생태계 플랫폼」 기반 구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07월 ~ 2024년 12월
3
인공지능기술 및 데이터를 활용한 우주항공용 초내열 비철 금속소재의 HUB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07월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