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신화성 연구실

인하대학교 생명공학과

신화성 교수

Artificial Skin

Inflammation

Spirulina

신화성 연구실

생명공학과 신화성

신화성 연구실은 생명공학과를 기반으로 생물공정공학, 해양생물 유래 바이오소재, 인공피부 및 조직공학, 기능성 소재의 의약 및 화장품 응용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해양 및 천연자원에서 유래한 다양한 바이오소재를 발굴하고, 이를 나노섬유, 나노입자, 하이드로겔 등 첨단 바이오플랫폼으로 개발하여 조직공학, 재생의학, 더마코스메틱, 의약품 전달 등 폭넓은 분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피루리나, 멍게 셀룰로오스, 해조류 다당류 등 해양생물 유래 소재를 활용한 인공피부, 상처치료제, 조직공학 지지체 개발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항산화, 항염증, 보습, 피부재생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어, 피부질환 치료제, 더마코스메틱, 건강기능식품 등으로의 응용 가능성이 높습니다. 연구실은 세포 및 조직 수준에서의 효능 검증, 나노기술 기반 전달체 개발, 동물실험 대체 바이오플랫폼 구축 등 첨단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생물공정공학의 이론과 실제를 접목하여 바이오소재의 대량생산, 공정 최적화, 생물반응기 제어 등 산업화 기반 기술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다양한 산학협력 프로젝트, 특허, 논문, 기술이전 등 풍부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바이오의약, 화장품, 조직공학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동물실험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정확하고 재현성 높은 평가가 가능한 인공피부 및 조직공학 플랫폼을 개발하여 바이오의약품, 더마코스메틱, 재생의학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양생물 유래 신소재의 발굴과 응용을 통해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바이오산업을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신화성 연구실은 생물공정공학과 해양바이오소재 융합연구를 바탕으로, 바이오의약, 조직공학,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국내외 바이오산업의 발전과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입니다.

Artificial Skin
Inflammation
Spirulina
생물공정공학 및 바이오소재 개발
신화성 연구실은 생물공정공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바이오소재의 개발과 응용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해양생물 유래 소재, 미세조류, 해양 바이오폴리머 등 천연자원을 활용한 바이오소재의 발굴 및 기능성 평가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피부 재생, 조직공학, 의약품 전달 등 다양한 바이오의료 분야에 적용 가능한 신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스피루리나, 멍게 셀룰로오스, 해조류 유래 EPS 등 다양한 해양생물 유래 소재를 나노섬유, 나노입자, 하이드로겔 등 첨단 바이오소재로 가공하여 인공피부, 상처치료제, 조직공학 지지체 등으로 활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공정의 최적화, 대량생산 공정 설계, 생물반응기 제어 등 생물공정공학의 핵심 기술을 접목하여 실용화와 산업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특허, 논문,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 다양한 성과로 이어지고 있으며,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바이오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신화성 연구실은 해양 및 천연자원 기반의 바이오소재 개발과 생물공정 최적화를 통해 바이오의약, 화장품, 조직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선도할 것입니다.
인공피부 및 조직공학용 바이오플랫폼 개발
본 연구실은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인공피부 및 조직공학용 바이오플랫폼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인공피부는 화장품, 의약품, 의료기기 등의 안전성 및 효능 평가에 필수적인 기술로, 실제 피부와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구실에서는 3D 세포배양, 나노섬유 지지체, 하이드로겔, 해양바이오폴리머 등 첨단 바이오소재를 활용하여 인공피부 및 다양한 조직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멍게 유래 셀룰로오스, 알지네이트, 스피루리나 추출물 등 해양생물 유래 소재를 적용하여 피부 재생능력, 보습, 항산화, 항염증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부여한 인공피부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동맥, 혈관, 신경 등 다양한 조직공학 모델을 개발하여 약물 전달, 조직 재생, 질환 모델링 등 폭넓은 연구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바이오플랫폼은 동물실험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정확하고 재현성 높은 평가를 가능하게 하여 바이오의약품, 더마코스메틱, 재생의학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신화성 연구실은 첨단 바이오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미래 바이오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할 것입니다.
해양생물 유래 기능성 소재의 의약 및 화장품 응용
신화성 연구실은 해양생물에서 유래한 기능성 소재를 의약품,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스피루리나, 해조류, 멍게 등 해양생물에서 추출한 색소단백질, 다당류, 셀룰로오스 등은 항산화, 항염증, 보습, 피부재생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어, 피부질환 치료제, 더마코스메틱, 상처치료제 등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이러한 해양생물 유래 소재의 효능을 세포 및 조직 수준에서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나노입자, 리포좀, 하이드로겔 등 첨단 전달체 기술과 융합하여 생체적합성 및 효능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피루리나 유래 C-피코시아닌을 이용한 건선 치료제, 멍게 셀룰로오스를 활용한 초음파 겔, 해조류 다당류 기반 인공피부 등 다양한 응용제품 개발에 성공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특허 출원, 기술이전, 산학협력 등으로 이어지며, 국내외 바이오의약 및 화장품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신화성 연구실은 해양생물 유래 신소재의 발굴과 응용을 통해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바이오산업을 이끌어갈 것입니다.
1
Differential spectroscopic analysis of size-dependent phycobilisome fromSpirulina maxima
박종호, 송현기, 김연규, 신화성
BIOTECHNOLOGY AND APPLIED BIOCHEMISTRY, 202006
2
Multifunctional chitosan-coated poly(lactic-co-glycolic acid) nanoparticles for spatiotemporally controlled codelivery of ceramide and C-phycocyanin to treat atopic dermatitis
민슬기, 이후철, 송현기, 신화성
JOURNAL OF BIOACTIVE AND COMPATIBLE POLYMERS, 201902
3
Chitosan-coated C-phycocyanin Liposome for Extending the Neuroprotective Time Window Against Ischemic Brain Stroke
정구용, 심규희, 김혜진, 신화성, 민슬기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201805
1
(LINC3.0)화이트바이오 ESG 산학 연구-교육모델 개발(국고)
한국연구재단
2024년 06월 ~ 2024년 12월
2
(LINC3.0)화이트바이오 ESG 산학 연구-교육모델 개발(기업대응)
한국연구재단
2024년 06월 ~ 2024년 12월
3
(국고-5차년도)산학융합 인터랙티브 바이오공정 혁신 교육연구단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