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겸 연구실
스포츠과학과 김승겸
김승겸 연구실은 스포츠과학과를 기반으로 운동생리학, 운동 처방, 운동 유전학, 후성유전학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운동이 인체의 생리적 기능, 특히 심혈관계와 대사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탐구하며, 운동을 통한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운동이 혈압, 혈관 탄성, 심장 구조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과, 운동을 통한 고혈압, 심혈관 질환, 대사 질환 예방 및 관리입니다. 이를 위해 동물 모델과 임상 연구를 병행하며, 운동 중재와 영양 보충제, 아로마 테라피 등 다양한 건강 증진 방법의 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운동이 혈관과 심장 조직의 노화 억제에 미치는 후성유전학적 기전, 미토콘드리아 기능 개선, 산화 스트레스 감소 등 분자생물학적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특히, 연구실은 운동 유전학 분야에서 개인의 유전적 특성에 따른 운동 반응성, 운동 수행능력, 건강 효과의 차이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유전체 분석, QTL 분석 등 첨단 유전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맞춤형 운동 처방의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고, 실제 건강 증진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운동과 관련된 다양한 중재 요인(아로마 테라피, 구강 미생물, 영양 보충제 등)이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적 접근을 통해 운동의 항노화 효과, 심혈관계 및 대사 건강 증진, 질병 예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김승겸 연구실은 앞으로도 운동생리학, 운동 유전학, 후성유전학 등 다양한 학문적 융합을 통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 전략을 제시하고,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입니다.
Cardiac Hypertrophy
Physical Activity and Hypertension
Exercise Genomics
운동생리학과 심혈관 건강
운동생리학은 신체 활동이 인체의 생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특히 심혈관계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김승겸 연구실은 운동이 혈압, 혈관 탄성, 심장 구조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탐구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운동이 고혈압 예방 및 관리, 혈관 노화 억제, 심장 비대 방지 등 다양한 심혈관계 질환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연구실은 동물 모델과 인간 대상 실험을 통해 운동이 혈관 내피세포 기능을 개선하고, 혈압을 낮추며, 혈관의 경직도를 완화하는 기전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와 같은 분자적 조절 인자가 혈관 노화와 심장 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운동이 이러한 인자들의 발현 및 활성에 미치는 후성유전적 변화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운동 후 혈압강하 효과에 대한 아로마 테라피와 구강 미생물의 역할 등 다양한 중재 요인도 함께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과 관리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맞춤형 운동 처방 및 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운동생리학적 접근을 통해 심혈관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을 위한 실질적인 전략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운동의 후성유전적 조절과 항노화 효과
김승겸 연구실은 운동이 노화와 관련된 분자생물학적 변화를 어떻게 조절하는지에 대한 후성유전학적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운동에 의해 유발되는 히스톤 변형, DNA 메틸화, 그리고 미토콘드리아 기능 변화가 혈관과 심장 조직의 노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운동이 단순한 신체 기능 개선을 넘어, 세포 수준에서 노화 과정을 지연시키는 분자적 기전을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동물 실험과 임상 연구를 통해 운동이 혈관과 심장 조직 내의 항섬유화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고, 노화로 인한 조직 경직과 기능 저하를 완화하는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운동이 미토콘드리아의 호흡 기능을 개선하고,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을 감소시키는 등 다양한 항노화 효과를 나타냄을 규명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운동과 영양 보충제(예: 클로로제닉산, 홍삼 등)의 병행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후성유전학적 연구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전략 개발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맞춤형 운동 및 건강관리 프로그램 설계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앞으로도 운동의 항노화 효과와 관련된 분자적 기전을 지속적으로 규명해 나갈 계획입니다.
운동 유전학과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운동 유전학은 개인의 유전적 특성이 운동 능력, 훈련 반응, 건강 효과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김승겸 연구실은 다양한 동물 모델과 인간 대상 연구를 통해 운동 수행능력, 심혈관 반응, 대사 건강 등에서 나타나는 개인차의 유전적 원인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운동에 대한 반응성이 유전자 변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이러한 차이가 실제 운동 처방에 어떻게 반영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유전자 연관 분석(GWAS), 양적형질좌위(QTL) 분석 등 첨단 유전체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운동 수행능력 및 훈련 반응에 관여하는 주요 유전자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인별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 개발의 과학적 토대를 마련하고 있으며, 운동이 심혈관계, 근골격계, 대사계에 미치는 효과를 유전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전적 배경과 운동 강도, 빈도, 유형 간의 상호작용이 건강 증진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개인의 유전적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운동 처방 및 건강관리 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운동 유전학 연구를 통해 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인 운동 및 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1
Advancements in hypertension and physical activity research: A bibliometric analysis
김승겸, 박시은
운동과학, 2024
2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Body Composition, Muscle Strength, and Physical Function in Old Age: Bibliometric and Meta-Analyses
Choi Yerim, Kim Daekyoo, Kim Seung Kyum
HEALTHCARE, 2024
3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and Chlorogenic Acid Supplementation on Hepatic Lipid Metabolism in Prediabetes Mice
Samaneh Shirkhani, Sayyed Mohammad Marandi, Mohammad Hossein Nasr-Esfahani, Seung Kyum Kim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2023
1
아로마 처치가 운동 후 혈압강하 효과에 미치는 영향
2
노화로 유발되는 심장 비대를 방지하는 운동의 후성유전적 조절자로서의 역할
3
운동에 의해 유발되는 히스톤 변형의 혈관 항노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