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Moon Research Group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문주호 교수

문주호 교수 연구실은 신소재공학과를 기반으로 차세대 에너지 소재 및 소자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카이랄 페로브스카이트, Sb2Se3(안티모니 셀레나이드) 등 혁신적인 무기 및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소재를 활용한 광전기화학적(PEC) 물 분해, 스핀트로닉스, 고효율 태양전지, 차세대 배터리 등 다양한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소재의 합성, 구조 제어, 계면공학, 소자 설계 및 평가까지 전주기적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독창적인 연구성과를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습니다. 특히, 카이랄 유도 스핀 선택성(CISS) 효과를 활용한 스핀트로닉스 및 스핀 기반 수소 생산 연구는 본 연구실의 대표적인 강점입니다. 카이랄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를 기반으로 한 스핀 필터링, 스핀 정렬 제어, 스핀 기반 광전기화학 반응 등은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는 고효율·고안정성 에너지 변환 소자 구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정보 저장, 암호화, 광전자 소자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또한, 페로브스카이트 및 Sb2Se3 등 저가·고효율 반도체 소재를 활용한 광전기화학적 물 분해 및 그린 수소 생산 시스템 개발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대면적·고효율·고안정성 광전극 제작, 하이드로겔 보호층 및 계면공학, 나노구조 제어 등 다양한 혁신적 공정 기술을 통해, 실제 상용화를 위한 무전해 수소 생산 시스템의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고성능 리튬-황 배터리, 투명 전극, 플렉시블 소자 등 차세대 에너지 저장 및 전자소자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한국연구재단, 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 다양한 국가 및 산업체 지원을 받아 대형 융합 연구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외 유수 학술지(Advanced Materials, Nature Communications,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등)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수의 특허 및 기술이전, 산학협력,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연구성과의 실용화와 산업적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문주호 교수 연구실은 창의적 소재 설계, 혁신적 소자 구조 개발, 실용화 지향의 공정기술 등 다양한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미래 에너지·전자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학생 및 연구원들은 첨단 소재 합성, 소자 제작, 분석 및 평가, 융합적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할 수 있으며, 국내외 학술대회, 산학협력, 국제공동연구 등 다양한 기회를 통해 글로벌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