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의과대학 외과의학교실 정재희
본 연구실은 소아 및 신생아 외과 질환의 진단과 치료, 장기이식 및 장재활, 선천성 및 희귀 소화기 질환의 임상 및 유전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선천성 소화기계 기형, 복부 장기 이상, 소아 종양, 급성 복막염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한 임상적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장기이식 및 장재활 프로그램 분야에서는 지난 20여 년간의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장기부전 환자의 예후, 합병증 관리, 신기능 보존 등 다양한 측면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장기이식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으며,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환자 개개인에 최적화된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선천성 및 희귀 소화기 질환의 임상 및 유전 연구를 통해 질환의 원인 규명과 예후 예측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유전자 분석을 통한 질환의 원인 규명, 다기관 연구를 통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등은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복강경 수술, 최소침습 수술, 3D 프린팅 등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소아 환자의 수술 후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하여 환자 치료 성과를 높이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소아 외과 분야의 교육과 전문 인력 양성, 전국 규모의 다기관 연구, 학회 활동, 국제 공동연구 등을 통해 국내 소아외과의 발전과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환자 중심의 혁신적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며, 소아 및 신생아 외과 질환의 진단과 치료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것입니다.
소아 및 신생아 외과 질환의 진단과 치료
본 연구실은 소아 및 신생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외과적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선천성 소화기계 기형, 복부 장기 이상, 소아 종양, 급성 복막염, 천공성 충수염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한 임상적 경험과 연구를 축적해왔습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진단이 어렵고, 신속한 치료가 환자의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연구실은 최신 영상의학적 진단법과 수술적 치료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복강경 수술, 최소침습 수술, 3D 프린팅을 활용한 맞춤형 수술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하여 소아 환자의 수술 후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희귀 소아암이나 선천성 기형 환자에 대한 다기관 연구 및 장기 추적 관찰을 통해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고, 치료 표준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었으며,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되어 환자 치료 성과를 높이고 있습니다.
더불어, 소아 외과 분야의 교육과 전문 인력 양성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전국 규모의 다기관 연구, 학회 활동, 국제 공동연구 등을 통해 국내 소아외과의 발전과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소아 및 신생아 외과 질환의 진단과 치료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장기이식 및 장재활 프로그램 연구
본 연구실은 장기이식, 특히 장이식 및 장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임상적 연구와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장기이식은 소아 및 성인에서 장기부전 환자의 생존과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본 연구실은 지난 20여 년간의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장기이식 환자의 예후, 합병증 관리, 신기능 보존 등 다양한 측면을 심도 있게 분석해왔습니다.
특히, 장기이식 후 신기능 저하, 영양관리, 감염 및 면역억제제 관리 등 복합적인 문제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환자 개개인에 최적화된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장기부전 환자가 완전 정맥영양에서 벗어나 자가 영양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임상적 문제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 발표되었으며,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되어 장기이식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장기이식 및 장재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환자 중심의 혁신적 치료법 개발과 임상적 근거 마련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계획입니다.
선천성 및 희귀 소화기 질환의 임상 및 유전 연구
연구실은 선천성 소화기계 기형 및 희귀 질환에 대한 임상적, 유전적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식도폐쇄, 장중첩증, 거대결장증, 거대선천성 탈장, 드문 유전성 종양 등 다양한 희귀 질환의 임상 양상, 진단 방법,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유전자 분석을 통한 질환의 원인 규명과 예후 예측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아 부신피질암에서의 MEN1 유전자 변이 연구, 선천성 기형 환자에서의 유전적 소인 분석 등은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치료법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기관 연구를 통해 국내외 희귀 질환 환자들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질환의 자연 경과와 치료 성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희귀 질환 환자와 가족에게 정확한 진단과 예후 정보를 제공하고, 맞춤형 치료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선천성 및 희귀 소화기 질환 분야에서 임상과 기초 연구를 융합하여, 환자 중심의 혁신적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앞장설 계획입니다.
1
Intestin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Adult Patients with Intestinal Failure: A 20-Year Analysis of Outcomes in the Single-Center Experience at a Tertiary Hospital
임경무, 정재희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202403
2
Using acellular porcine dermal matrix (XCM Biologic® Tissue Matrix) to repair a giant omphalocele: A case report
박주연, 정재희
MEDICINE, 202302
3
Comparison of the UEscope Video Laryngoscope with the Traditional Direct Laryngoscope in Neonates and Infant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이형묵, 채민석, 정재희, 박재식, 심정우, 배진훈
CHILDREN(BASEL), 202208
1
신생아 괴사성 장염에 대한 NecroX-5 예방 및 치료효과 연구
2
hIGF-1 유전자 태반내 전이가 선천성 횡격막탈장에서 폐형성저하증 개선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