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임기택 연구실

부경대학교 건축학전공 임기택 교수

임기택 연구실은 건축계획 및 설계 이론을 중심으로, 건축의 본질과 공간의 의미, 그리고 건축가의 역할에 대한 철학적·이론적 탐구를 활발히 전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후기구조주의, 해체주의, 현상학 등 현대 건축이론을 바탕으로, 건축 공간의 복합성과 경계 해체, 인간 중심의 공간 창출에 주목하며, 다양한 저서와 논문을 통해 건축이론과 실제 설계의 접점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건축의 고유한 특성과 현대적 해석을 융합하는 연구를 통해, 건축의 한국성, 건축가의 정체성, 그리고 건축 공간의 사회적·문화적 맥락을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건축이 단순한 물리적 구조물이 아니라, 사회적 담론과 문화적 상징의 장임을 강조하며, 건축설계 교육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공공시설, 특히 교정시설의 건축계획과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적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교정시설의 공간 구성, 기능 개선, 순차적 ITR 기능, 화상접견실 리모델링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미국 법조타운 및 도심복합형 구치소의 건축계획 각론을 연구하여, 보안성과 편의성, 그리고 치유환경 요소를 통합한 공간 설계를 모색합니다. CPTED의 이론적 기반과 실제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공동주택단지, 근린생활시설, 도시재생 지역 등 다양한 도시공간에서의 범죄예방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저비용 CPTED 기법, 공간적·자연적·기계적 통제 및 감시 강화 방안, 거버넌스 체계 확립 등 정책적 제언도 함께 이루어지며, 사회적 약자와 지역사회의 안전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임기택 연구실은 공간 데이터 마이닝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실용적 연구도 병행하며, 한국형 폭력성 저감 교정시설 모델 개발 등 공공건축의 질적 향상과 안전하고 인간적인 환경 조성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연구 활동을 통해, 건축계획 및 설계 분야에서 이론과 실무를 아우르는 선도적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