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환 연구실
신소재공학과 임태환
임태환 연구실은 하이브리드공학과를 기반으로 금속가공 및 분말야금 분야에서 오랜 기간 축적된 전문성과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첨단 재료공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금속 분말의 특성 제어, 소결 공정의 최적화, 그리고 고기능성 금속 및 합금 부품의 제조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분말야금법을 활용한 다양한 금속 및 합금의 소결체 제조와 그 미세구조 및 기계적 특성 분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동차, 전자, 기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고성능 부품의 대량 생산 및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결 공정에서의 치밀화 메커니즘, 첨가제의 역할, 공정 변수의 영향 등 기초적인 과학적 원리부터 실제 산업 적용까지 폭넓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고성능 자기 재료와 나노복합체 개발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Nd-Fe-B 기반 영구자석, TiC-Ni 나노복합 분말 등 첨단 소재의 합성 및 특성 평가를 통해 전기전자, 에너지,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신소재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금속열환원법, 고에너지 볼밀링 등 첨단 공정기술을 적용하여 소재의 미세구조와 계면 특성을 제어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수한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연구실은 다양한 금속 및 합금의 소결 특성, 기계적 성질, 내식성, 자기적 특성 등 소재의 다각적인 특성 평가를 통해 최적의 재료 설계와 응용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 제조기술의 혁신과 첨단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임태환 연구실은 산학협력 및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최신 연구 동향을 반영하고, 실용적이고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신소재 및 고기능성 부품 개발을 위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분말야금 기술 및 소결 공정 연구
분말야금은 금속 분말을 원료로 하여 다양한 금속 및 합금 부품을 제조하는 첨단 재료공학 분야입니다. 임태환 연구실에서는 분말야금의 기본 원리부터 실제 산업 적용까지 폭넓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금속 분말의 특성 제어, 혼합 및 성형, 그리고 소결 공정에서의 치밀화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탐구하여 고성능 금속 부품의 제조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금속 및 합금 분말(예: 철,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을 활용하여 소결체의 미세구조와 기계적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합니다. 소결 온도, 분위기, 첨가제 등 공정 변수의 변화가 최종 제품의 밀도, 강도, 내식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화된 소결 조건을 제시합니다. 또한, 분말야금법을 이용한 자동차, 전자, 기계 산업용 부품의 대량 생산 기술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의 주조 및 단조 공정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고,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임태환 연구실의 분말야금 및 소결 공정 연구는 첨단 산업의 요구에 부응하는 신소재 및 고기능성 부품 개발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미래 제조기술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자기 재료 및 나노복합체 개발
임태환 연구실은 고성능 자기 재료와 나노복합체의 합성 및 특성 평가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Nd-Fe-B 기반 영구자석, TiC-Ni 나노복합 분말 등 다양한 첨단 소재의 제조와 응용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고온 환경에서 우수한 자기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신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금속 및 세라믹 나노복합체의 합성에 있어 금속열환원법, 고에너지 볼밀링 등 다양한 첨단 공정기술을 적용합니다. 이를 통해 미세구조 제어, 상분포 최적화, 계면 특성 개선 등 소재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기 재료의 상형성, 자화 및 보자력 특성, 내식성 등 다양한 물리적·화학적 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전기전자, 자동차,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고효율, 고신뢰성 소재 개발에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임태환 연구실의 자기 재료 및 나노복합체 연구는 첨단 소재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미래 신기술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혼합 및 합금고속도 공구강 소결체의 치밀화에 미치는 구성성분의 역할
임태환
한국분말야금학회지, 1970
2
순철 분말과 인(P)이 피복된 철분말 소결체의 기계적 성질
임태환
한국분말야금학회지, 1970
3
Preparation of porous BaTiO3-based ceramics by high-energy ball-milling process
임태환, 김준규, J-G Ha, K-S Park
MATERIALS LETTERS, 20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