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범 연구실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박준범
박준범 연구실은 기초치주학 및 치주조직 재생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치주질환의 병인, 진단, 치료 및 장기 관리에 관한 기초 및 임상 연구를 폭넓게 진행하며, 치주염과 임플란트 주위염 등 다양한 치주질환의 원인 규명과 위험인자 분석, 최신 진단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치주질환과 전신질환(당뇨, 심혈관질환, 류마티스관절염 등)과의 상관관계 연구를 통해 치주학의 융합적 발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분야는 줄기세포 및 바이오소재를 활용한 치과 조직재생 융합 연구입니다. 치은 유래 및 골수 유래 줄기세포의 3차원 배양, 스페로이드화, 바이오프린팅 등 첨단 바이오공학 기술을 활용하여 골재생, 치주조직 재생, 임플란트 주위 조직 회복 등 다양한 임상적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성장인자 및 약물전달체와의 복합 적용, 다양한 바이오소재와의 융합을 통해 조직재생 효율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동물 모델과 임상 연구를 병행하여, 골재생, 치주인대 및 치조골 재생을 촉진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생체재료(콜라겐 매트릭스, 합성골, 에나멜 매트릭스 유도체 등)와 줄기세포, 성장인자(BMP, FGF, IGF 등)의 조합을 통한 조직 재생 효과를 체계적으로 검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 맞춤형 치주치료 및 조직재생의 임상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수의 국내외 특허와 논문, 학술상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연구재단 등 다양한 국가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학연 협력 및 기술이전, 다학제적 융합연구를 통해 치과 바이오산업의 발전과 임상적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치주질환 환자의 예후 개선과 임플란트 성공률 향상, 그리고 치과 조직재생 분야의 임상적 혁신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치주학 및 조직재생 분야의 세계적 연구 허브로서, 환자 중심의 맞춤형 치료와 미래 치의학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입니다.
기초치주학 및 치주조직 재생 연구
본 연구실은 기초치주학 분야에서 치주질환의 병인, 진단, 치료 및 관리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치주질환은 구강 내 미생물과 숙주 면역 반응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며, 장기적인 구강 건강과 전신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연구실에서는 치주염, 임플란트 주위염 등 다양한 치주질환의 원인 규명과 위험인자 분석, 그리고 최신 진단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줄기세포 기반 치료법, 성장인자 및 바이오소재를 활용한 조직공학적 접근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동물 모델과 임상 연구를 병행하여, 골재생, 치주인대 및 치조골 재생을 촉진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생체재료(콜라겐 매트릭스, 합성골, 에나멜 매트릭스 유도체 등)와 줄기세포, 성장인자(BMP, FGF, IGF 등)의 조합을 통한 조직 재생 효과를 체계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치주질환 환자의 예후 개선과 임플란트 성공률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며, 궁극적으로는 환자 맞춤형 치주치료 및 조직재생의 임상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치주질환과 전신질환(당뇨, 심혈관질환, 류마티스관절염 등)과의 연관성 연구도 병행하여, 치주학의 융합적 발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 및 바이오소재 기반 치과 조직재생 융합 연구
연구실은 줄기세포의 3차원 배양, 스페로이드화, 바이오프린팅 등 첨단 바이오공학 기술을 활용한 치과 조직재생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치은 유래 및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골재생, 치주조직 재생, 임플란트 주위 조직 회복 등 다양한 임상적 문제 해결을 위한 기초 및 응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성장인자(IGF, VEGF, BMP 등) 및 약물(덱사메타손, 타크로리무스, 비타민 D, 에스트로겐 등)을 줄기세포 스페로이드와 결합하거나, 약물전달체(PLGA 마이크로스피어, 나노입자 등)와 함께 적용하여 조직재생 효율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바이오소재(콜라겐,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합성골, 에나멜 매트릭스 유도체 등)와의 복합 적용을 통해, 조직공학적 치료의 안전성과 효과를 동물실험 및 임상연구를 통해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는 기존의 치과 치료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 맞춤형 재생치료 및 조직공학 기반 신의료기술 개발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다학제적 산학연 협력 연구를 통해 치과 바이오산업의 발전과 임상적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1
Impact of Dexamethasone on Three-Dimensional Stem Cell Spheroids: Morphology, Viability, Osteogenic Differentiation
이희라, 김주환, 이현진, 박준범
MEDICINA-LITHUANIA, 202505
2
Effect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1 on the Maintenance of Cell Viability and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Gingiva-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Spheroids
화소명, 이현진, 고영경, 박준범
MEDICINA-LITHUANIA, 202501
3
Impact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on the Shape, Survival, and Osteogenic Transformation of Gingiva-Derived Stem Cell Spheroids
이지은, 화소명, 이희라, 김주환, 이현진, 박준범
MEDICINA-LITHUANIA, 202412
1
줄기세포 배양체와 약물 전달체를 활용한 복합 치주조직 재생 융합연구
2
줄기세포 3차원 배양과 3D 바이오프린팅을 활용한 골재생 융합 연구
3
치은 유래 줄기세포의 치주염과의 상관관계 규명 및 효과적인 조직 재생을 위한 프로토콜 개발 및 세포 치료의 적용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