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시스템공학과 하정석 교수
CoCoA 연구실은 차세대 정보통신 시스템의 핵심 기술인 무선 통신, 채널 부호, 물리계층 보안, 그리고 양자통신 및 오류정정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6G 및 그 이후의 무선 네트워크, 위성통신, 초소형 위성 네트워크 등 미래형 통신 환경에서 요구되는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초신뢰 특성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다중 안테나(Massive MIMO), 셀-프리 네트워크, 비직교 다중 접속(NOMA), 인공지능 기반 신호처리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실제 산업체 및 국가 연구과제와의 협력을 통해 실용화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특히, 물리계층 보안 분야에서는 인공 잡음, 협력 재밍, 비밀 키 추출, 파일럿 오염 공격 대응 등 다양한 보안 기법을 개발하고, 정보 이론적 분석과 실제 시스템 적용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6G 환경에서의 셀-프리 Massive MIMO, 위성 통신, 초소형 위성 네트워크 등 새로운 응용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며, 정보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는 차세대 보안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오류정정 부호 분야에서는 LDPC, 터보, 폴라, 블록 단위 연접 BCH 등 다양한 채널 부호의 설계 및 복호 알고리즘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저장장치와 통신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초저에러 환경을 위한 고성능, 저복잡도 오류정정 기술을 선도적으로 연구하며, 인공지능 기반 딥러닝 복호기, trapping set 문제 해결, 에러 플로어 저감 등 다양한 성능 개선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양자 오류정정 부호와 같은 미래형 컴퓨팅 및 통신 환경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양자통신 및 양자 오류정정 분야에서는 양자암호통신, 양자 네트워크, 양자 부호 설계 및 복호 알고리즘 등 미래 정보통신의 핵심이 될 기술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표면 코드, 토폴로지 기반 부호, 딥러닝 기반 양자 복호기 등 첨단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실제 양자 시스템의 구현을 고려한 실용적 복호기 설계와 신뢰 전파 기반 딥러닝 모델 등 혁신적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CoCoA 연구실은 정보 이론, 신호처리, 무선 네트워크, 인공지능, 양자정보 등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융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국제 저널 논문, 특허, 학회 발표를 통해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으며, 글로벌 표준화 및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CoCoA 연구실은 차세대 정보통신 및 보안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서, 미래 사회의 핵심 인프라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