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양근혁 연구실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양근혁 교수

BIM and Construction Management

3D Laser Scanning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양근혁 연구실

건축공학과 양근혁

양근혁 연구실은 스마트시티공학부 소속으로, 건축공학 분야에서 친환경 고성능 콘크리트, 탄소중립 건설재료, 구조물 내진 및 내구성 향상 기술 등 다양한 첨단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이산화탄소 흡착 박테리아를 활용한 콘크리트 및 토양개량제, 무시멘트 결합재, 바이오 기반 코팅재 등 친환경·저탄소 건설재료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건설산업의 탄소배출 저감과 지속가능성 확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박테리아 기반의 무전력 생태 탄소 포집 코팅재, CO2 흡수형 콘크리트 투수블록, 바이오 기술과 수소환원 시멘트 공정의 융합을 통한 CO2N-crete 개발 등 혁신적인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 기술이전, 실용화 프로젝트로 이어지며,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수준의 기술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정부·산업체 연구과제와 산학연 협력을 통해 실용화 및 사업화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경량골재 콘크리트, 고강도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등 첨단 건설재료의 개발과 더불어, 구조물의 내진 성능 및 내구성 향상 기술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V-타이, 강섬유, 아라미드 섬유, 트러스 시스템 등 다양한 보강재와 보강공법을 적용하여, 지진 및 외부 충격에 강한 구조물을 구현하고 있으며, 균열 자기치유 기술, 박테리아 기반 자기치유 환 등 혁신적인 내구성 향상 기술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연구실은 대기정화용 콘크리트, 미세먼지 저감형 건설재료, 나노·다공성 소재를 활용한 환경개선 기술 등 스마트시티와 환경복원 분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 인프라, 주거환경, 산업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미래 도시와 건설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양근혁 연구실은 국내외 학술지 논문, 특허, 기술이전, 실용화 프로젝트 등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함께 산학연 협력, 국제 공동연구, 후학 양성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건축공학 및 건설환경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친환경·고성능 건설재료와 구조물 안전성, 환경개선 기술 등 미래 건설산업의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BIM and Construction Management
3D Laser Scanning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친환경 고성능 콘크리트 및 탄소중립 기술 개발
양근혁 연구실은 친환경 고성능 콘크리트 및 탄소중립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는 이산화탄소 흡착 기작을 갖는 박테리아를 활용한 콘크리트, 토양개량제, 투수블록 등 다양한 건설재료의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대기 중 CO2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건설 분야의 탄소 배출 저감에 기여하며, 기존의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거나 대체할 수 있는 무시멘트 결합재, 바이오 기반 소재 등도 적극적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특히, 박테리아 기반의 무전력 생태 탄소 포집 코팅재,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생태학적 코팅 모르타르, 그리고 바이오 기술과 수소환원 시멘트 공정의 융합을 통한 지속가능한 CO2N-crete 개발 등은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혁신적인 연구 성과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특허와 기술이전, 실용화 프로젝트로도 이어지고 있으며, 실제 건설 현장에 적용 가능한 수준의 기술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친환경 콘크리트 및 탄소중립 기술은 건설 산업의 지속가능성 확보와 기후변화 대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향후 도시 인프라, 스마트시티, 환경복원 등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산학연 협력을 통해 실용화 및 사업화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관련 특허와 연구과제도 활발히 수행 중입니다.
경량·고강도 콘크리트 및 구조물 내진·내구성 향상 기술
연구실은 경량골재 콘크리트, 고강도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등 첨단 건설재료의 개발과 더불어, 구조물의 내진 및 내구성 향상 기술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경량골재 콘크리트는 바텀애시, 준설토, 인공골재 등 다양한 산업 부산물을 활용하여 친환경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추구하며, 고강도와 경량화를 동시에 달성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콘크리트는 고층 건축물, 교량, 원전 등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되어 구조적 효율성과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전단벽, 내진 중공기둥, 보강기둥 등 내진 성능이 우수한 구조 시스템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V-타이, 강섬유, 아라미드 섬유, 트러스 시스템 등 다양한 보강재와 보강공법을 적용하여, 지진 및 외부 충격에 강한 구조물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균열 자기치유 기술, 박테리아 기반의 자기치유 환, 고흡수성 섬유 등 혁신적인 내구성 향상 기술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 논문, 특허, 기술이전, 실용화 프로젝트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실제 건설 현장에서의 적용성과 경제성, 시공성, 유지관리 효율성까지 고려한 통합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구조물의 안전성과 수명 연장, 유지관리 비용 절감 등 사회적·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1
Effect of simulated weathering conditions on the NOX and SOX removal rates of permeable concrete blocks with porous materials
양근혁, 심재일, 문주현, 김종원, 정연백, 최세진, Cong Thang Nguyen
MATERIALS AND STRUCTURES, 2025
2
Temperature Effect on Service Life of Reinforced Concrete (RC) Structure Under Chemical Erosion
양근혁, 이현우, Ahmed K. Alkaabi, 권성준
Applied Sciences-Basel, 2025
3
Cyclic shear response of piloti-type structures strengthened with aramid fiber sheets
양근혁, 심재일, 문주현, 임채림, 노광근
Structures, 2025
1
박테리아 기반 무전력 생태 탄소 포집 토양개량제 (2024 BRIDGE 3.0)
한국연구재단
2024년 11월 ~ 2025년
2
박테리아를 활용한 탄소제거 친환경 콘크리트 기술의 사업화 추진을 위한 IP 고도화 및 실용화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2024년 04월 ~ 2024년 12월
3
건축물 일체형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전환 기술 개발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2024년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