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건축 역사 및 이론의 심층 연구
김현섭 연구실은 건축의 역사와 이론을 심도 있게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한국 근현대 건축의 흐름과 주요 건축가, 그리고 건축 운동의 전개 과정을 다양한 시각에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건축이 사회, 문화, 정치적 맥락 속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해왔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특히, 연구실은 일제강점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건축의 정체성과 변화를 집중적으로 조명합니다. 박길룡, 고유섭, 홍윤식 등 주요 인물들의 건축론과 비평을 비교 분석하고, 근대건축운동의 수용과 변용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또한, 건축 이론의 국제적 흐름과 한국적 수용 양상, 그리고 서양 건축사와의 비교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축의 이론적 기반을 강화할 뿐 아니라, 실제 건축 설계와 도시계획, 문화유산 보존 등 다양한 실천적 영역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연구실의 성과는 국내외 학술지, 저서, 학술대회 발표 등으로 꾸준히 확산되고 있으며, 건축학계의 담론 형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
전통과 현대의 건축적 연속성 및 한옥 연구
연구실은 전통 건축, 특히 한옥의 현대적 변용과 진화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한옥의 구조, 공간, 형태적 특성을 현대 건축가들의 작업을 통해 분석하고, 리노베이션과 신축, 전통 형식의 유지와 변화 등 다양한 유형을 분류하여 그 스펙트럼을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이를 통해 전통과 현대의 경계에서 나타나는 창의적 연속성과 변형의 가능성을 탐구합니다. 특히, 삼청동 한옥, 마포아파트, 행촌아파트 등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한옥의 근대화 과정과 온돌 등 전통적 요소의 현대적 적용을 분석합니다. 또한, 동서양 건축의 교류와 상호 영향, 그리고 한국적 건축 정체성의 구현 방식에 대한 연구도 병행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옥의 문화적 가치와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한옥뿐만 아니라, 일본, 핀란드 등 해외 전통건축과의 비교 연구도 수행하여, 전통 건축의 현대적 재해석과 글로벌 건축 담론 속에서의 위치를 모색합니다. 이를 통해 전통의 보존을 넘어 창조적 계승과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