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박정환 연구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박정환 교수

박정환 연구실

의과대학 박정환

박정환 연구실은 분자신경생물학을 중심으로 뇌의 신경회로와 시냅스 가소성, 인지기능 조절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의과학 분야의 선도적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해마, 전전두피질, 복측피개영역 등 주요 뇌 영역 간의 상호작용과 신경회로의 동적 변화가 학습, 기억, 인지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냅스 태깅과 캡처, 단백질 합성 조절, 신경전달물질 신호전달 등 다양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최신 유전자 조작 기술, 전기생리학, 행동 분석,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통합적으로 활용합니다. 이를 통해 학습과 기억의 형성, 유지, 소멸 과정에서 나타나는 신경회로의 변화와 그 분자적 기반을 체계적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 경험, 환경 변화, 수면 등 다양한 외부 요인이 뇌의 인지기능과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신경생리학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뇌파 동역학, 신경회로 간 동기화, 도파민 신호전달의 역할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인지 유연성 향상 및 인지기능 저하의 신경생리학적 원인을 밝히고자 합니다. 이와 함께, 특발성 렘수면행동장애 등 신경정신질환 모델을 이용해 질환 관련 인지기능 저하의 메커니즘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경정신질환, 치매, 수면장애 등 다양한 뇌질환의 병태생리 이해와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박정환 연구실은 뇌 기능의 근본 원리를 밝히고, 인지기능 저하 및 신경계 질환의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기여함으로써, 의생명과학 및 신경과학 분야의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분자신경생물학적 신경회로 및 시냅스 가소성 연구
박정환 연구실은 분자신경생물학을 기반으로 뇌의 신경회로와 시냅스 가소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합니다. 특히, 해마-전전두피질-복측피개영역(VTA) 등 주요 뇌 영역 간의 상호작용과 신경회로의 동적 변화가 학습과 기억, 인지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동물 모델과 전기생리학적 기법,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활용하여 뇌 회로의 기능적 특성과 분자적 조절 기전을 규명합니다. 연구실은 신경세포 간의 시냅스 가소성, 즉 시냅스의 강도가 경험에 따라 변화하는 현상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시냅스 태깅과 캡처, 단백질 합성 조절, 신경전달물질 신호전달 경로 등 다양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최신 유전자 조작 기술과 이미징, 행동 분석을 접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습과 기억의 형성, 유지, 소멸 과정에서 나타나는 신경회로의 변화와 그 분자적 기반을 체계적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경정신질환, 치매, 수면장애 등 다양한 뇌질환의 병태생리 이해와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박정환 연구실의 분자신경생물학적 접근은 뇌 기능의 근본 원리를 밝히고, 인지기능 저하 및 신경계 질환의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지기능 및 유연성 조절의 신경생리학적 기전 규명
본 연구실은 사회적 경험, 환경 변화, 수면 등 다양한 외부 요인이 뇌의 인지기능과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신경생리학적으로 규명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뇌파(세타파) 동역학, 신경회로 간 동기화, 도파민 신호전달의 역할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인지 유연성 향상 및 인지기능 저하의 신경생리학적 원인을 밝히고자 합니다. 연구실은 작업기억, 학습, 기억력 유지 등 고차원적 인지기능이 전전두피질, 해마, 복측피개영역 등 뇌의 특정 회로에서 어떻게 조절되는지 다양한 실험적 접근법을 통해 분석합니다. 행동실험, 전기생리학, 약물처리,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뇌 회로의 기능적 변화와 그에 따른 인지행동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특발성 렘수면행동장애 등 신경정신질환 모델을 이용해 질환 관련 인지기능 저하의 메커니즘도 심층적으로 탐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인지기능 저하를 동반하는 다양한 신경정신질환의 조기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기초를 제공합니다. 더 나아가, 사회적 자극이나 환경 변화가 뇌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과학적으로 입증함으로써, 뇌 건강 증진 및 예방의학적 접근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1
Novelty triggers time-dependent theta oscillatory dynamics in cortical-hippocampal-midbrain circuitry
박정환
MOLECULAR BRAIN, 2024
2
Transitional zone prostate cancer: Performance of texture-based machine learning and image-based deep learning
Lee Myoung Seok, 문민환, Kim Young Jae, Kim Kwang Gi, 박정환, 성창규, 정현, 손환철
MEDICINE, 2023
3
Novelty selectively permits learning-associated plasticity in ventral tegmental-hippocampal-prefrontal circuitry
박정환
FRONTIERS IN BEHAVIORAL NEUROSCIENCE, 2023
1
DNA, RNA, 단백질 등 생체분자 기전 및 제어 연구
서울대학교병원
2023년 08월 ~ 2024년 07월
2
작업기억의 전전두피질 신경회로 기전 및 조절 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03월 ~ 2024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