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NGON Lab

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공학대학원-신소재공학과 조힘찬 교수

NGON 연구실은 차세대 광전자 나노소재 및 소자 개발을 선도하는 연구실로,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와 콜로이드 양자점 등 혁신적 발광체 소재를 기반으로 고효율, 고색순도, 고안정성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광전자 소자 구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소재의 합성, 표면/계면 엔지니어링, 소자 집적화 등 전주기적 연구를 통해 소재-소자-시스템을 아우르는 융합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페로브스카이트 및 양자점 기반 발광체는 AR/VR,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광통신, 이미징, 센싱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연구실은 표면화학, 결함 패시베이션, 쉘 구조 최적화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 친화적 소재 개발을 위해 납 프리 페로브스카이트, 유로퓸 기반 나노결정 등 새로운 소재군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전통적인 폰노이만 구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광 뉴로모픽 소자, 인센서 컴퓨팅, 광양자 컴퓨팅 등 혁신적 소자 연구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빛과 전기 신호를 동시에 활용하는 차세대 소자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스마트 헬스케어 등 미래 산업의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으며, NGON 연구실은 소재-소자-시스템의 융합적 접근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나노소재의 합성 및 표면/계면 엔지니어링 기술을 바탕으로, 소재의 근본적 이해와 혁신적 합성법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용융염 기반 콜로이드 합성, 리간드 교환, 결함 패시베이션 등 다양한 합성 및 엔지니어링 전략을 통해 고품질 나노소재를 구현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광센서, 양자정보 소자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NGON 연구실은 세계적 수준의 연구성과와 다수의 수상 경력을 바탕으로, 미래 광전자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소재 과학, 광전자공학, 인공지능, 양자정보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글로벌 리더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