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OLED

동아대학교 전자공학과 이기동 교수

동아대학교 전자공학과 OLED 연구실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의 혁신을 선도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AMOLED 및 OLED 디스플레이의 광학 구조 설계, 시인성(가독성) 개선, 색 재현성 향상, 반사방지필름 및 광학보상필름 개발 등 다양한 광학적 접근법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핵심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각 층의 두께 및 굴절률 최적화, 투명 OLED 및 하이브리드형 투명 OLED의 광학적 성능 향상 등 실질적인 산업적 응용이 가능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Flexible(유연) 디스플레이와 투명 디스플레이 소자 설계 및 응용 분야에서도 국내외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나노 캡슐 액정 구조체, 컬러리스 폴리이미드 기판, 액정-고분자 복합체 등 혁신적인 소재와 구조를 도입하여, 디스플레이의 기계적 유연성과 광학적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고대비 및 고투과율 달성을 위한 광학 구조 최적화, 투명 전극 및 광학 필름 설계, 투명 OLED와 액정셀의 융합 기술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고속응답성과 광시야각 특성을 갖춘 액정 디스플레이 모드 개발 역시 본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IPS, VA, 블루상 액정, 게스트-호스트 모드 등 다양한 액정 디스플레이 구조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응답 속도와 시야각, 명암비 등 핵심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광배향 기법, 고분자 네트워크 형성, 전극 구조 최적화, 광학 보상필름 설계 등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액정 분자의 정렬 안정성과 전기광학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2D/3D 전환이 가능한 스테레오스코픽 및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멀티도메인 구조, 저전압 구동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수의 SCI급 논문과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외 대기업 및 연구기관과의 산학협력을 통해 기술의 실용화와 산업적 파급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동아대학교 OLED 연구실은 디스플레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응용 분야를 개척하는 데 앞장서며,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