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찬희 연구실
데이터사이언스전공 곽찬희
곽찬희 연구실은 산업데이터사이언스학부에 소속되어 있으며, 경영전산처리와 빅데이터 분석, 그리고 정보시스템의 혁신적 활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기업 및 조직의 경영활동에 정보기술을 접목하여,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과 업무 프로세스 혁신을 실현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빅데이터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응용 연구를 통해 실제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앱 선탑재 효과 분석, 교통 약자 탐지, 의료 서비스 추천 시스템, 건강검진 데이터 기반 예측 모델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최신 데이터 분석 기법과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디지털 사회에서의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화, 그리고 디지털 휴먼의 개념에 대한 심층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의 데이터화와 식별성, 디지털 인권 이슈, 인지능력 관리 서비스 등 사회적·윤리적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국내외 학술대회와 저명 학술지에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학문적·실무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학협력 및 정부 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실질적인 사회문제 해결과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곽찬희 연구실은 데이터사이언스와 정보시스템 분야의 융합 연구를 선도하며, 첨단 정보기술을 활용한 혁신적 연구와 인재 양성에 힘쓸 것입니다.
경영전산처리 및 정보시스템
경영전산처리는 기업의 경영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컴퓨터와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경영정보시스템의 설계, 구현, 평가를 중심으로 다양한 조직 내외부 데이터의 효과적인 처리와 분석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하고, 업무 프로세스의 혁신을 도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본 연구실은 정보시스템의 도입 및 활용이 조직의 성과와 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IT 프로젝트의 위험 요인 분석, 팀 내외부 지식 흐름과 IT 지원의 상관관계, 그리고 디지털 혁신을 위한 RPA(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적용 사례 연구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최신 정보기술 트렌드에 맞춰 클라우드 컴퓨팅, 스마트 스피커,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신기술의 경영적 활용 방안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이 디지털 전환 시대에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학문적·실무적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빅데이터 및 머신러닝 기반 데이터 분석
빅데이터와 머신러닝은 현대 산업데이터사이언스의 핵심 기술로, 본 연구실은 대규모 데이터의 수집, 처리, 분석 및 예측 모델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주요 목표입니다.
연구실에서는 머신러닝을 활용한 모바일 앱 선탑재 효과 분석, 교통 약자 탐지, 의료 서비스 추천 시스템, 건강검진 데이터 기반 예측 모델 등 실제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 토픽 모델링, 자연어처리(NLP) 등 첨단 데이터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리뷰 분석, 챗봇 대화 분석, 개인정보 데이터화 등 다양한 응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산업 현장에서의 실질적 문제 해결에 기여합니다. 더불어, 연구실은 최신 인공지능 기술과 융합하여 미래 지향적인 데이터 사이언스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휴먼 및 개인정보 데이터화
본 연구실은 디지털 환경에서의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화, 그리고 디지털 휴먼의 개념에 대한 심층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의 데이터화는 인간과 기계가 생성하는 다양한 데이터의 특성과 변화 가능성, 그리고 식별성에 대한 분석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개인정보의 안전한 활용과 보호, 그리고 디지털 사회에서의 인간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합니다.
특히, '잊힐 권리'와 같은 디지털 인권 이슈, 개인정보의 식별성 및 관리, 그리고 디지털로 표현되는 개인의 다차원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사회적·윤리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지능력 관리 서비스 및 테스트 시스템 개발과 관련된 특허도 출원하여,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로의 확장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활용의 균형을 모색하며, 디지털 사회에서의 인간 중심 데이터 관리 및 정책 수립에 중요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1
A Small Clue Made of Fragmented Pieces
이민형, 민진영, 곽찬희, 최한별, 이준영
COMMUNICATIONS OF THE ACM, 2024
2
Effects of Online Crowds on Self-Disclosure Behaviors in Online Reviews: A Multidimensional Examination
HanByeol Stella Choi, Wonseok Oh, Heeseok Lee, unyeong Lee, 곽찬희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2022
3
Do teams need both hands? An analysis of team process ambidexterity and the enabling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y
곽찬희, 이희석, 이준영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2020
1
[3차년도]머신러닝을 활용한 모바일 앱 선탑재의 고객 선점 및 유지 효과 검증
2
[2차년도]머신러닝을 활용한 모바일 앱 선탑재의 고객 선점 및 유지 효과 검증
3
[1차년도]머신러닝을 활용한 모바일 앱 선탑재의 고객 선점 및 유지 효과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