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박현호 연구실

수원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박현호 교수

Magnetic Shielding

Wireless Power Transfer

Electromagnetic Noise Reduction

박현호 연구실

전기전자공학부 박현호

박현호 연구실은 전기전자공학부 소속으로, 전자파 차폐 및 흡수 소재, 전자파 차폐 효과 측정 및 평가, 무선 전력 전송 및 마이크로로봇 응용 등 첨단 전자파 공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신소재를 활용한 전자파 차폐 및 흡수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폴리머, 나노복합소재, 페라이트, 카본 나노튜브 등 첨단 소재를 이용해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우수한 차폐 성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반도체 패키지, 모바일 기기, 대형 차폐실, 전장부품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전자파 차폐 효과의 정확한 측정 및 평가를 위한 첨단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IEEE 299.1, ASTM D4935, IEC 62333-2 등 국제 표준에 기반한 다양한 측정 방법론을 연구하며, 실제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측정 기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도체판의 슬롯, 개구부, 다층 구조, 복합 흡수체 등 다양한 구조적 변수에 따른 차폐 성능 변화를 이론적·실험적으로 분석하고, 신뢰성 높은 측정 장비와 지그를 직접 설계·제작하여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무선 전력 전송(WPT) 기술과 이를 활용한 마이크로로봇, 전기차, IoT 기기 등 다양한 응용 분야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무선 전력 송수신 코일 장치, 공진형 차폐 구조, 자기장 집중 및 차폐 기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의료용 임플란터블 마이크로로봇, 스마트폰, 전기차 등 미래 산업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이크로로봇의 추진 및 에너지 공급, 전기차의 동적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효율 향상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가 두드러집니다. 이외에도, 연구실은 전자파 간섭(EMI) 및 전자기 적합성(EMC)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이론적·실용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자파 차폐/흡수 소재의 설계, 전자파 방호 시설의 최적화, 전자파 측정 및 평가 표준화, 산업체와의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 폭넓은 연구 활동을 통해 국내외 학계 및 산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다수의 특허, 논문, 학술대회 발표, 수상 경력 등은 연구실의 우수성과 전문성을 입증합니다. 박현호 연구실은 앞으로도 첨단 전자파 공학 분야의 핵심 기술 개발과 산업 현장 적용을 목표로,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전자파 문제 해결과 미래 스마트 사회 구현에 기여하는 연구실로 발전해 나가고 있습니다.

Magnetic Shielding
Wireless Power Transfer
Electromagnetic Noise Reduction
전자파 차폐 및 흡수 소재 개발
박현호 연구실은 전자파 차폐 및 흡수 소재의 개발과 성능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폴리머, 나노복합소재, 페라이트 시트, 카본 나노튜브 등 다양한 신소재를 활용하여 전자파 차폐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특히, 유연한 전자기 간섭(EMI) 차폐 필름, 복합 흡수체, 다층 구조 차폐 패널 등 첨단 소재의 설계와 제작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전자파의 반사, 흡수, 다중 반사 등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차폐 효과를 발휘하며, 실제로 다양한 주파수 대역(수십 MHz~수 GHz)에서의 차폐 성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합니다. 또한, 소재의 기계적 특성, 열적 안정성, 유연성 등 실사용 환경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최적의 차폐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수치해석, 이론 모델링, 실험적 측정 등 다양한 방법론을 통합적으로 활용합니다. 연구 결과는 반도체 패키지, 모바일 기기, 대형 차폐실, 전장부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고출력 전자파 방호, IoT 및 5G 기반 기기, 전기차 등 미래 첨단 산업의 전자파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 및 특허 출원,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으로 이어지며, 전자파 차폐 및 흡수 소재 분야의 선도적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전자파 차폐 효과 측정 및 평가 기술
본 연구실은 전자파 차폐 효과의 정확한 측정 및 평가를 위한 첨단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차폐 효과(Shielding Effectiveness, SE) 측정은 다양한 표준(IEEE 299.1, ASTM D4935, IEC 62333-2 등)에 기반하여 진행되며, 평판형 소재, 도파관, 리버버레이션 챔버, 세미에코익 챔버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측정 방법론을 연구합니다. 특히, 근거리 및 원거리 전자파 차폐 측정, 반사 및 투과 기반 흡수율 분석, 안테나 효과 제거, 케이블 커플링 영향 최소화 등 실제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측정 기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수치해석과 이론 모델링을 결합하여 차폐 효과의 이론적 해석과 실험적 검증을 동시에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도체판의 슬롯, 개구부, 다층 구조, 복합 흡수체 적용 등 다양한 구조적 변수에 따른 차폐 성능 변화를 분석하고, 3차원 전자파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의 차폐 효과를 예측합니다. 또한, 실제 측정 장비와 표준 지그(jig)를 직접 설계·제작하여, 측정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반도체 패키지, 모바일 기기, 대형 차폐실, 전장부품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요구되는 차폐 성능 평가에 직접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측정 표준화 및 국제 규격 대응, 산업체와의 협력 연구, 학술대회 발표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전자파 차폐 효과 측정 및 평가 분야의 기술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무선 전력 전송 및 마이크로로봇 응용
연구실은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WPT) 기술과 이를 활용한 마이크로로봇, 전기차, IoT 기기 등 다양한 응용 분야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누설(EMF) 저감, 코일 설계, 공진형 차폐 구조, 자기장 집중 및 차폐 기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실제로 무선 전력 송수신 코일 장치에 대한 특허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이크로로봇의 추진 및 에너지 공급을 위한 자기장 기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자성 소재를 이용한 추진력 및 토크 생성, 코일 구조 최적화 등 첨단 융합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의료용 임플란터블 마이크로로봇, 스마트폰, 전기차 등 다양한 산업 및 의료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전기차의 동적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코일 정렬 자동화, 누설 자기장 저감, 효율 향상 등 실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실험적 검증, 시뮬레이션, 이론 모델링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 및 미래 모빌리티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Properties of Highly Flexible Poly(styrene-co-butyl acrylate)/PEDOT:PSS Films Fabricated by Latex Technology
Seung Chang Lee, Yong Bin Bang, Hyo Yeol Na, 이성재, 박현호
POLYMERS, 202406
2
Analysis of multilayered shielding panels consisting of conducting and absorbing materials
권종화, 박현호
AIP ADVANCES, 202401
3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Performance of Poly(styrene-co-butyl acrylate)/Carbon Nanotube Nanocomposites Fabricated by Latex Technology
박현호, Kim Yeong Jae, Lee Seung Chang, Jang Keon-Soo, Lee Seong Jae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202303
1
저비용 EMP 경량방호 소재·부품·장치 및 시설 취약성 평가 핵심기술 개발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4년 ~ 2024년 12월
2
초연결 E-Vehicle 전력 및 신호 EMC 고도화 기술 개발
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4년 ~ 2024년 12월
3
고출력 전자파 차단을 위한 전력 의존형 차폐 구조 연구
한국연구재단
2022년 03월 ~ 2023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