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양자 정보 및 양자 오류정정 코드(QECCs)

박동영 연구실은 양자 정보 처리와 양자 오류정정 코드(QECCs)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양자 컴퓨팅의 발전과 함께 양자 정보의 신뢰성 확보는 필수적인 과제가 되었으며, 본 연구실은 다양한 양자 오류정정 코드의 설계 및 구현 방법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단일 및 다중 비트플립 오류정정, 위상 비트플립코드, 쇼어 코드의 확장형 구조 등 다양한 양자 오류정정 기법을 논문을 통해 제안하고 있습니다. 양자 논리회로의 정보 가역성, 다치 양자논리, NCV 라이브러리 기반의 양자게이트 설계 등 양자 논리회로의 효율적인 구현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양자 컴퓨터의 실용화와 신뢰성 향상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으며, 양자 논리회로의 함수 임베딩, 투사측정, 스위치 기반 제어 등 다양한 논리적 접근법을 통해 양자 정보 처리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향후 본 연구실은 양자 정보 이론의 발전과 더불어, 실제 양자 컴퓨팅 하드웨어와의 연계를 통한 실용적 오류정정 기술 개발에 주력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미래 양자 컴퓨팅 시대의 핵심 기술을 선도하고, 양자 정보통신 분야의 학문적·산업적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2

정보통신 시스템 및 응용: 사물인터넷(IoT)과 무선통신

본 연구실은 정보통신 시스템의 설계와 응용, 특히 사물인터넷(IoT)과 무선통신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SDR)를 활용한 재난통신망 구축, 블루투스 기반 인원체크 시스템, IoT 기반 농작물 관리 시스템 등 실생활에 밀접한 응용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과 실용화에 중점을 두고,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과 센서 네트워크, 모바일 로봇 구현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융합형 정보통신 시스템 개발에도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아두이노, AT89S51 프로세서 등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한 응용 시스템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실제 산업 현장과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향후 연구실은 5G/6G 등 차세대 무선통신 기술, 인공지능 기반의 통신망 최적화, 스마트 시티 및 스마트 팩토리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연구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정보통신공학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고, 미래 지능형 정보통신 사회 구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3

디지털 논리회로 및 다치논리(MVL) 설계

박동영 연구실은 디지털 논리회로 및 다치논리(Multiple-Valued Logic, MVL) 설계 분야에서 오랜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치논리 함수의 합성, 다중제어 Toffoli 게이트, Quaternary Galois Field Sum-Of-Product(QGFSOP)형 함수의 합성과 실현 등 다양한 논리회로 설계 방법론을 개발해왔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의 이진 논리회로를 넘어, 정보 표현의 효율성과 회로 집적도의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류 모드 CMOS MVL을 이용한 병렬 가산기 설계, 가변형 산술연산 시스템, 다치논리 함수의 최소화 및 합성 기법 등 하드웨어 구현에 직접 적용 가능한 연구 성과를 다수 발표하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학술대회와 논문을 통해 다치논리 기반 회로 설계의 이론적 토대와 실용적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다치논리 및 디지털 논리회로 설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차세대 정보통신 시스템의 핵심 부품 기술 개발에 앞장설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첨단 정보통신 하드웨어의 성능 향상과 집적화에 기여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