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폐병리 및 폐종양의 분자병리 연구

김교영 연구실은 폐병리, 특히 폐종양의 분자병리학적 특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폐암은 국내외적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환으로, 다양한 조직학적 아형과 분자적 이질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 유전자 변이, 신호전달 경로의 이상 등을 분석하여 폐암의 발생과 진행, 예후 인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합니다. 특히, FOXP3, Hippo pathway, Beclin-1 등 종양 억제 및 면역조절과 관련된 분자 표지자들의 발현과 폐암의 성장, 전이와의 상관관계를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폐암 환자의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 새로운 치료 표적 발굴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또한, EGFR 유전자 변이, COX-2, HuR 등 다양한 분자 표지자에 대한 대규모 임상 샘플 분석을 통해 한국인 환자 집단의 특이성을 규명하는 데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폐암의 조기 진단, 치료 반응 예측, 신약 개발 등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높이며, 궁극적으로 폐암 환자의 생존율 향상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최신 분자병리 기술을 도입하고, 지속적으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

소화기계 종양 및 면역미세환경 연구

연구실은 위장관을 비롯한 소화기계 종양의 병리학적 특성과 종양 미세환경의 면역조절 기전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위암, 대장암, 담도암 등 다양한 소화기계 암종에서 C-MYC, PD-L1, FOXP3, Beclin-1, RKIP 등 분자 표지자의 발현과 종양 미세환경 내 면역세포(조절 T세포, 대식세포, 호산구 등)의 분포 및 상호작용을 분석합니다. 특히, 종양 관련 대식세포(TAM), 조절 T세포(Treg), 케모카인(CCL11, CCL24) 등 면역세포와 면역조절 인자의 발현이 종양의 성장, 혈관신생, 전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종양 미세환경 내 면역조절 네트워크를 이해함으로써, 면역치료제 개발 및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또한, 영양상태 지표(PNI), 베클린-1, 글루코스 수송체(GLUT1) 등 다양한 임상적, 분자적 인자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소화기계 암 환자의 예후 예측 및 치료 반응 평가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이러한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소화기계 암의 진단, 예후, 치료법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