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소화기내과 질환의 진단 및 치료

이선영 연구실은 소화기내과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임상 및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위장관, 간, 췌장, 담도 등 소화기계 전반에 걸친 질환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 내시경적 치료, 복강경 수술 등 최신 진단 및 치료법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하고, 진단의 정확성과 치료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급성 및 만성 췌장염, 담관 결석, 담도암, 위암, 대장암 등 다양한 소화기 질환의 임상적 특성과 치료 결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항생제 내성균에 의한 담도 감염, 고령 환자에서의 내시경 시술 안전성, 내시경적 시술 후 합병증 예방 등 실제 임상 현장에서 직면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도 중점적으로 수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었으며, 임상 진료 가이드라인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자군의 특성 분석, 치료 반응 예측, 장기 추적 관찰 등을 통해 소화기내과 질환의 진단 및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 삶의 질 향상과 의료 현장의 실질적 발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2

소화기 내시경 시뮬레이션 및 햅틱 기술 개발

이선영 연구실은 소화기 내시경 시술의 교육 및 훈련을 위한 시뮬레이터와 햅틱 장치 개발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실제 내시경 시술의 복잡한 움직임과 촉각 피드백을 정밀하게 재현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여, 내시경 시술자의 숙련도 향상과 안전한 시술 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허로 등록된 햅틱 장치와 대장 모델 생성 기술은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뮬레이터는 실제 환자에게 시술하기 전 충분한 연습을 가능하게 하여, 의료진의 시술 능력 향상과 시술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실은 KAIST-Ewha Colonoscopy Simulator II 등 다양한 내시경 시뮬레이터의 개발 및 임상 평가를 통해,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의 효과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햅틱 피드백의 정밀도와 현실감을 높이기 위한 기계적·소프트웨어적 개선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의료 교육의 혁신뿐만 아니라,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안전성 증진, 시술 표준화, 의료진의 스트레스 감소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첨단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한 소화기내과 교육 및 진단·치료 기술의 발전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3

Helicobacter pylori 및 장내 미생물 연구

이선영 연구실은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 장내 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이 소화기 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H. pylori 감염의 유병률, 재감염률, 제균 치료 효과, 위암 및 소화성 궤양과의 연관성 등 다양한 임상적 측면을 다루고 있으며, 국내 이주자 및 다양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역학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담낭절제술 후 장내 미생물 변화, 장내 미생물 다양성과 건강의 상관관계, 특정 미생물종의 증감이 소화기 질환의 발생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16S rRNA 유전자 시퀀싱 등 최신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미생물 군집의 변화와 임상적 의미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진단, 치료에 있어 미생물 기반의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를 제공합니다. 연구실은 앞으로도 H. pylori 및 장내 미생물 연구를 통해 소화기 질환의 병태생리 이해를 심화시키고, 맞춤형 치료 및 예방 전략 개발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국민 건강 증진과 소화기내과 분야의 학문적 발전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