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Energy Materials Lab.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김동완 교수

에너지 저장 소재 (Energy storage materials)

리튬, 나트륨 이온 배터리

리튬–황/리튬–공기 배터리 (Li–S / Li–O₂ batteries)

전고체 배터리 (Solid-state batteries)

슈퍼커패시터 나노전극

프로젝트 공고 바로가기

Energy Materials Lab.

건축사회환경공학부 김동완

김동완 교수의 에너지재료연구실(Energy Materials Lab, EML)은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에 속해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과 고효율 에너지 저장·변환 시스템을 위한 기능성 신소재 및 공정 기술에 집중하는 융합형 연구실입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리튬·나트륨 이온 배터리, 리튬–황/리튬–공기 배터리, 슈퍼커패시터용 나노복합 전극과 광전기화학 기반 수소생산 전극, 중금속·유기오염 흡착 나노소재, 유무기 화합물 합성과 조립 공정 설계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김 교수 연구실은 ‘엔지파이 생체촉매 시스템’과 유사한 환경 응용 기술뿐만 아니라 차세대 이차전지 핵심 소재 개발, 금속인산염 고체 전해질 인터페이스 설계 등 최신 기술을 Advanced Energy Materials, Nano‑Micro Letters 등에 발표하고 있으며, 학술기여상과 석탑연구상 수상 및 Journal of Asian Ceramic Societies 등 학회 편집위원 활동 통해 학계 기여와 리더십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김동완 교수는 MIT 박사후 과정을 거쳐 KIST 선임연구원 및 여러 대학 교수로 재직한 경력을 지니고 있으며, 현재 고려대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나노·바이오 융합 기반의 소재 설계 및 실험 역량을 교육하며, 환경·에너지 기술의 실질적 상용화와 지속가능한 사회 기여를 목표로 연구실을 이끌고 있습니다

에너지 저장 소재 (Energy storage materials)
리튬, 나트륨 이온 배터리
리튬–황/리튬–공기 배터리 (Li–S / Li–O₂ batteries)
전고체 배터리 (Solid-state batteries)
슈퍼커패시터 나노전극
금속–유기 골격체(MOF) 기반 인공보호층 (Artificial SEI)
광전기화학 수소생산 전극 (PEC hydrogen evolution)
비귀금속 나노촉매
중금속 및 유기 오염물 흡착재
연구실 하이라이트
연구실의 정보를 AI가 요약해서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해두었어요
연구자역량
세계 상위 2% 연구자가 이끄는 차세대 전지 연구
AI 요약 확인하기
독창적기술
차세대 전고체전지 상용화 핵심, 아지로다이트 고체전해질 기술
AI 요약 확인하기
지속가능기술
그린 수소 생산을 위한 고효율/저비용 수전해 촉매 기술
AI 요약 확인하기
기술파급력
고용량 차세대 음극재 원천 기술 포트폴리오
AI 요약 확인하기
SCIE논문
세계 최고 수준의 학술지에 증명된 연구 역량
AI 요약 확인하기
기업협력
리튬이온을 넘어, 미래 배터리 기술의 풀-포트폴리오
AI 요약 확인하기
맞춤형 인사이트 리포트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연구 트렌드부터 공동 연구 방향성 기획까지
연구실과 같이 할 수 있는게 무엇인지,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무료 리포트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