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홈페이지 관리시스템
고분자나노공학과 정광운
본 연구실은 고분자와 나노기술의 융합을 기반으로 한 첨단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구조 제어 고분자 재료의 설계와 합성, 그리고 이의 다양한 응용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고분자 사슬의 배열과 나노입자 복합화, 자기조립 기술을 통해 기존 재료의 한계를 극복하는 혁신적인 신소재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분야는 스마트 윈도우 및 광기능성 고분자 박막 개발입니다. 외부 자극에 따라 투명도, 색상, 광학적 특성이 변화하는 스마트 윈도우 소재와,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광기능성 박막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는 에너지 절감, 프라이버시 보호, 첨단 디스플레이 및 센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실험적 연구와 이론적 모델링을 병행하여, 나노구조와 물성 간의 상관관계를 심도 있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분자 나노복합체, 액정 고분자, 광반응성 고분자 등 다양한 형태의 고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 이전과 상용화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첨단 IT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스마트 윈도우 및 광기능성 박막의 지능형 제어와 환경 적응형 응용 등 미래형 스마트 소재 기술로의 확장도 모색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산학연 협력을 바탕으로, 차세대 전자소자, 에너지 소재,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 성과는 다수의 국제 저널 논문, 특허, 산학협력 프로젝트, 그리고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를 통해 활발히 공유되고 있으며, 미래 신소재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Nano Materials
Liquid Crystals
Polymer Networks
나노구조 제어 고분자 재료
나노구조 제어 고분자 재료는 고분자와 나노기술의 융합을 통해 재료의 구조와 특성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첨단 연구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고분자 사슬의 배열, 나노입자와의 복합화, 그리고 자기조립 기술을 활용하여 고분자 재료의 기계적, 열적, 광학적 특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합성 방법과 표면 개질 기술을 적용하여, 기존 재료보다 우수한 성능을 갖는 신소재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노구조 제어를 통해 고분자 재료의 열전도도, 전기전도도, 광학적 이방성 등 다양한 물성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액정 고분자, 나노섬유, 나노입자 복합체 등 다양한 형태의 나노구조체를 설계하여, 스마트 윈도우, 고성능 디스플레이,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소자 등 첨단 응용 분야에 적합한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험적 접근뿐만 아니라, 분자 시뮬레이션 및 이론적 모델링을 병행하여 구조-물성 상관관계를 심도 있게 분석합니다.
이러한 나노구조 제어 고분자 재료 연구는 차세대 전자소자, 에너지 소재,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 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국내외 산학연 협력을 통해 실제 산업 적용을 위한 기술 이전과 상용화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미래 신소재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윈도우 및 광기능성 고분자 박막
스마트 윈도우 및 광기능성 고분자 박막 연구는 외부 자극(빛, 열, 전기 등)에 따라 투명도, 색상, 광학적 특성이 변화하는 기능성 소재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액정 고분자, 반응성 메조겐, 광반응성 고분자 등 다양한 고분자 기반 소재를 활용하여, 전기변색, 광변색, 온도감응형 스마트 윈도우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스마트 윈도우는 에너지 절감, 프라이버시 보호, 건축 및 자동차용 첨단 윈도우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광기능성 고분자 박막은 고분자와 나노구조체의 정밀한 제어를 통해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 반사, 흡수하는 특성을 갖도록 설계됩니다. 예를 들어, 편광필름, 위상차 필름, 광결정 박막 등은 디스플레이, 센서, 광통신 등 다양한 광전자 응용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실은 코팅, 자기조립, 광중합 등 다양한 공정기술을 개발하여, 대면적·고성능 박막 제조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다학제적 융합을 통해 새로운 기능성 소재와 소자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첨단 IT기술과 연계하여, 스마트 윈도우 및 광기능성 박막의 지능형 제어, 실시간 모니터링, 환경 적응형 응용 등 미래형 스마트 소재 기술로의 확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1
Recyclable Low Dielectric Polymers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for Copper-Clad Laminated Film for High-Frequency Applications
정용채, 고혜윤, 위영재, 구자현, 임민우, 형재석, 유명재, 차우다리 기르다리, 강동규, 정광운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2502
2
Interfacial Engineering of Nickel OxidePerovskite Interface with Amino Acid Complexed NiO to Improve Perovskite Solar Cell Performance
싱딜프리트, 사긋시, 상레이 수휠, 정광운, 권성남, 나석인
Small, 202412
3
Liquid Metal Grid Patterned Thin Film Devices Toward Absorption?Dominant and Strain?Tunabl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정광운, 유웬웨이, 프리야누뷰엔, 석진권, 김시현, 배예진, 뮤케시싱, 하민정, 트란 듀이 탄, 싱마, 박병진, 박성준
Nano-Micro Letters, 202412
1
(4단계-5차)나노융복합 에너지 혁신 소재 · 부품 인재양성사업단
2
(간접비-2024)나노융복합 에너지 혁신 소재 · 부품 인재양성사업단
3
(간접비재투자)복합자극 감응 멀티스케일 형상변형 카멜레온 액추에이터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