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lex Systems Science Lab
농업생명과학대학 김준
Complex Systems Science Lab은 농업생명과학대학에 소속된 연구실로, 주로 탄소 플럭스 모니터링, 에디 공분산 기법, 온실가스 측정, 산림 생태계 관리 및 기후 변화 적응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프로젝트로는 Future Earth 한국 프로그램 기반 구축, 주요 산림 생태계 타워플럭스 관측망 유지보수, 데이터 처리 및 품질 관리, 탄소순환모델 개발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 일본, 중국의 기후변화협약 대처 능력을 배양하고 있습니다. 또한, 광릉 생태 타워를 기반으로 에너지, 물질 및 정보 교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탄소 예산 평가 방법을 개선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의 주요 성과로는 한국 김제의 벼 경작 시스템의 기후스마트농업 기반 평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복잡계 분석, 그리고 미국 네브래스카 주의 관개 옥수수 농업 생태계에서의 복사, 에너지 및 엔트로피 교환 연구 등이 있습니다.
Forest Ecosystem Management
Carbon Flux Monitor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한국 산림생태계 탄소 플럭스 감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한국 주요 산림생태계의 탄소 플럭스를 감시하고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연구를 진행합니다. 이를 위해 플럭스 타워 관측망의 유지보수와 자료처리, 품질관리 등을 수행하며, 탄소순환모델을 개발하여 지구시스템모델과 결합하는 작업을 병행합니다. 또한, 다양한 위성 영상 및 생태수문모델링을 통해 한반도 탄소순환을 정밀하게 평가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관련 연구자들과의 협력을 증진시킵니다.
농업 및 산림 기상서비스를 위한 맞춤형 핵심기술 개발
기후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농업 및 산림 기상서비스 핵심기술을 개발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기상 관측 데이터와 수치 모델을 결합하여 유역 단위 물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증발산량 측정을 통해 물 순환을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또한, 맞춤형 기상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3차원 온실가스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에너지, 물질 및 정보 교환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기상 변동을 모니터링하고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합니다.
1
Evaluation of forest carbon uptake in South Korea using the national flux tower network, remote sensing, and data-driven technology
Indrawati Yohana Maria, Kim Jongho, Lee Seung-Hoon, 김준, Cho Sungsik, Kang Minseok, Ichii Kazuhito, Lim Jong-Hwan, Chun Jung-Hwa, Park Chan-Woo, Kim Hyun Seok, Choi Sung-Won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21
2
Gap-filling approaches for eddy covariance methane fluxes: A comparison of thre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nd a traditional method wit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김준, Kim Yeonuk, Johnson Mark S., Knox Sara H., Black T. Andrew, Dalmagro Higo J., Kang Minseok, Baldocchi Dennis
GLOBAL CHANGE BIOLOGY, 2020
3
How can the First ISLSCP Field Experiment contribute to present-day efforts to evaluate water stress in JULESv5.0?
김준, Williams Karina E., Harper Anna B., Huntingford Chris, Mercado Lina M., Mathison Camilla T., Falloon Pete D., Cox Peter M.
Geoscientific Model Development, 2019
1
Database Construction of Energy, Matter, and Information Exchanges based on Gwangneung Ecological Tower and Improvement of Carbon Budget Evaluation Method
2
Development of 3-Dimensional Monitoring Techniques for Greenhouse Gases
3
Time series analysis of northern temperate forest characteristics and the development of forest management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