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조강희 교수
ICNN@Inha 연구실은 탄소중립 시대를 선도하는 나노촉매 및 흡착제 개발을 중심으로, 에너지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첨단 화학공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소(CO) 등 온실가스의 효과적인 분리 및 전환을 위한 혁신적인 촉매와 흡착제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플라스틱 재활용, 수소 생산, 암모니아 합성 등 다양한 탄소저감 기술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압·저온 조건에서도 높은 활성을 보이는 암모니아 합성 촉매, 고효율 CO 및 CO2 분리 흡착제, 바이오매스 유래 에너지 저장 소재 등 다양한 응용 분야를 아우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험실 수준의 소재 합성에 그치지 않고, 실제 산업 공정에 적용 가능한 펠릿화, 내구성 향상, 재생 용이성 등 실용적 측면까지 고려하여 진행됩니다. 또한, 밀도범함수이론(DFT) 계산 등 이론적 분석을 병행하여 촉매 반응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제올라이트, 메조다공성 실리카, 금속-유기구조체(MOF) 등 다양한 다공성 소재의 구조 제어 및 표면 개질을 통해, 대형 분자의 산화 반응, 크기 선택적 가스 분리, 수분 흡착 기반 열저장 등 고부가가치 응용 분야에 적합한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계면활성제 기반 구조유도체를 활용한 위계다공성 제올라이트 합성, 다양한 이온 교환 및 표면 개질 기술을 통한 산점 및 기공 특성 조절 등 소재의 미세구조와 표면 특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연구성과의 실용화와 기술이전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특허 등록 및 기술이전, 국내외 학술지 논문 발표, 학회 수상 등 우수한 연구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기반기술 개발과 더불어, 차세대 에너지 및 환경 소재 연구를 선도하는 연구실로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 ICNN@Inha 연구실은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문화를 바탕으로, 미래 에너지와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 양성과 첨단 기술 개발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