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DL
차세대반도체공학연계전공 김한기
IMDL(Information Material & Device Laboratory)은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과에 소속된 세계적 수준의 연구실로, 정보 및 에너지 관련 혁신 소재와 소자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투명 전도성/반도성 소재, 플렉시블 및 신축성 전극, 유기/무기 기반 박막 태양전지 등 차세대 전자 및 에너지 소자에 필수적인 핵심 소재를 설계하고 합성하는 데 탁월한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IMDL은 플라즈마 기반 박막 증착 및 처리 기술(PVD, FTS, CVD, 플라즈마 트리트먼트 등)을 활용하여, 고품질 박막의 대면적 균일 증착, 저온 공정, 저손상 증착 등 차별화된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유연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전자기기, 스마트 윈도우, 박막 배터리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혁신적인 소자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소재의 미세구조 및 계면 특성 분석, 소자 제작 및 성능 평가, 신뢰성 검증 등 전 주기적 연구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며, 소재-공정-소자-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심도 있게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원천기술 및 상용화 기술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IMDL은 국내외 산학연 협력,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국제 학술대회 발표 등 활발한 연구 교류와 기술 확산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다수의 수상 경력과 우수 논문 발표, 산학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연구실의 우수성을 대내외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IMDL은 앞으로도 정보 및 에너지 혁신 소재와 소자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며, 미래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첨단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Thin Film Passivation
OLEDs
Flexible Electronics
정보 및 에너지 혁신 소재 및 소자
IMDL 연구실은 정보 및 에너지 관련 혁신 소재와 소자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차세대 전자기기,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요구되는 고성능 소재를 설계하고 합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기 및 무기 기반의 박막 태양전지, 투명 전도성/반도성 소재, 그리고 플렉시블 및 신축성 전극 개발에 있어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 소재 연구는 투명하고 유연한 전극, 고효율 광전 소자, 웨어러블 전자기기 등 미래 지향적 기술의 핵심이 됩니다. IMDL은 다양한 박막 증착 기술(PVD, CVD, FTS 등)과 플라즈마 기반 공정, 그리고 나노구조 제어를 통해 소재의 전기적, 광학적, 기계적 특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소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차세대 정보 및 에너지 소자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소재의 미세구조 분석, 계면 특성 평가, 소자 제작 및 성능 평가까지 전 주기를 아우르는 연구 인프라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통합적 연구 접근법은 소재-소자-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심도 있게 규명하며,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혁신 기술을 창출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플라즈마 기반 박막 기술 및 박막 소자 응용
IMDL은 플라즈마 기반 박막 증착 및 처리 기술을 활용한 첨단 소자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플라즈마를 이용한 PVD, FTS, CVD, 플라즈마 트리트먼트 및 에칭 등 다양한 공정 기술을 바탕으로, 전자 소자,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등에서 요구되는 고품질 박막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손상 플라즈마 증착 기술은 유연 기판, 고분자, 유기물 등 열에 민감한 소재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차세대 플렉시블 및 웨어러블 소자 개발에 필수적입니다.
연구실은 플라즈마 공정의 미세 제어를 통해 박막의 두께, 조성, 결정성, 계면 특성 등을 정밀하게 조절하며, 이를 통해 소자의 성능과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 투명 전극, 스마트 윈도우, 박막 배터리 등 다양한 응용 소자에 플라즈마 기반 박막 기술을 접목하여, 실질적인 산업적 파급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IMDL은 플라즈마 손상 제어, 대면적 균일 증착, 저온 공정 등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산학연 협력 및 특허 출원, 기술이전 등 활발한 기술 확산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역량은 미래 정보·에너지 소자 시장에서 IMDL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1
Review of Brush Painting for Cost-efficient Paintable Electronics
G.-W. Kim, Y. J. Kim, Han-Ki Kim
Appl. Sci. Converg. Technol., 2021
2
TiN and In2O3 Co-sputtered Amorphous InTiON Electrodes for Perovskite Solar Cells
J.-E. Lee, S.-P. Cho, S.-S. Kim, Han-Ki Kim
Appl. Sci. Converg. Technol., 2018
3
Effect of Anatase TiO2 Doping Power on Electrical, Opt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Multicomponent TiO2-Doped ITO Electrodes
Jong-Wook Lim, Yoon-Young Choi, Chung-Ki Cho, Kwang-Hyuk Choi, Han-Ki Kim
Kor. J. Mater. Res., 2011
2
[경기도비]경기도 반도체 인력양성ㆍ기술협력 대학혁신플랫폼
3
[응용2-경기도] PVD 기반 soft deposition 공정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