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근옥 연구실
원자력공학과 장근옥
원자력공학과 연구실은 원자력 재료의 열역학 및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한 연구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연구실은 상-장 모델링을 통한 Fe-Cr 시스템의 상 분리 거동, 헬륨 조사 하에서 텅스텐 표면 거칠기가 스퍼터링 수율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다공성 다결정 UO2의 유효 열전도도 모델링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중성자 조사된 흑연의 결함 구조 분류와 같은 기계 학습을 활용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수의 논문과 학회 발표로 이어졌으며, 원자력 재료의 미세 구조 및 열적 특성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hase-Field Modeling
Thermal Conductivity of UO2
Neutron-Irradiated Materials
페이즈 필드 모델링을 통한 Fe-Cr 시스템의 상 분리 거동 연구
이 연구는 Fe-Cr 시스템에서 α, α',· 상을 포함한 상 분리 거동을 페이즈 필드 모델링 기법을 통해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페이즈 필드 모델링은 다양한 미세구조 변화를 시뮬레이션하는 데 유용한 방법으로, Fe-Cr 합금의 상분리와 그로 인한 미세구조 변화를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Fe-Cr 시스템의 상 분리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다양한 환경에서의 합금의 안정성을 평가하여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원자력 재료의 성능 향상 및 신뢰성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Phase Separation Behavior of Fe-Cr System Including α, α', and · Phases Using Phase-Field Modeling
SCIE SCOPUS,
2
Defect structure classification of neutron-irradiated graphite using supervised machine learning
SCIE SCOPUS,
3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model of porous polycrystalline UO2: A computational approach
KCI SCIE SCOP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