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정필상 연구실

단국대학교 의학과

정필상 교수

정필상 연구실

의학과 정필상

정필상 연구실은 이비인후과학을 기반으로 광역학 치료, 레이저 치료, 조직 재생, 광의료기기 개발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두경부암, 갑상선암, 피부암 등 종양 질환뿐만 아니라, 만성 염증, 상처 치유, 미각 및 청각 손상 등 다양한 이비인후과 질환의 치료와 재생을 위한 혁신적인 치료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광역학 치료와 저출력 레이저 치료는 연구실의 핵심 연구 분야로, 다양한 광감작제와 레이저 파장, 조사 조건을 최적화하여 치료 효율을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동물실험과 임상연구를 통해 실제 환자 치료에 적용되고 있으며, 치료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줄기세포, 하이드로젤, 생체적합성 고분자 등 첨단 재생의학 기술을 활용하여 조직 재생과 기능 회복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미각, 청각, 피부 등 다양한 조직의 재생을 위한 분자생물학적 기전 연구와 함께, 관련 바이오마커 및 치료제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광의료기기 및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연구실은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확산 광학 분광 영상, 광진단 프로브, 스마트 치료기기 등 다양한 의료기기를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임상 현장에 적용하여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치료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다수의 특허 출원, 논문 발표, 기술이전 및 제품 상용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필상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융합적이고 실용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환자 치료의 질적 향상과 미래 의료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광역학 치료 및 레이저 기반 치료기술 개발
정필상 연구실은 광역학 치료(PDT)와 레이저 기반 치료기술의 개발 및 임상 적용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광역학 치료는 특정 파장의 빛과 광감작제를 이용하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혁신적인 치료법으로, 두경부암, 갑상선암, 피부암 등 다양한 종양 질환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광감작제의 효능과 안전성, 그리고 최적의 레이저 파장 및 조사 조건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 및 임상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동물모델 및 임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치료 효과와 부작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며, 광역학 치료의 치료 효율을 높이기 위한 약물 병용 요법, 고농도 산소 활용, 그리고 광원(LED, 다이오드 레이저 등)의 최적화 등 다양한 전략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광역학 치료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조직 재생, 상처 치유, 만성 염증 질환 등 비종양성 질환에도 응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정필상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학회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최신 광의학 기술을 도입하고, 의료기기 개발 및 상용화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다수의 특허 출원과 논문 발표로 이어지고 있으며,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환자 치료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질환의 조직 재생 및 기능 회복 연구
연구실은 이비인후과 영역의 조직 재생과 기능 회복을 위한 다양한 생체재료 및 세포치료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구강궤양, 피부 상처, 미각 손상, 청각 손상 등 다양한 조직 손상에 대해 줄기세포, 하이드로젤, 생체적합성 고분자 등을 활용한 재생의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간 편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와 트리메틸 키토산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구강궤양 치료, N-아세틸시스테인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상처 치유 촉진 등 혁신적인 치료법을 동물모델과 임상 연구를 통해 검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Sonic Hedgehog(Shh) 신호전달계, Wnt 신호전달계 등 세포 분화와 조직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자생물학적 기전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각 재생, 청각 세포 재생, 신경 재생 등 기능적 회복을 위한 새로운 치료 타겟을 발굴하고, 관련 바이오마커 및 치료제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특허 출원과 더불어, 실제 임상 적용을 위한 약학 조성물 및 의료기기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필상 연구실은 조직 재생 분야에서의 다학제적 융합 연구를 통해,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내외 연구과제와 산업체 협력을 통해 연구 성과의 실용화와 상용화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광의료기기 및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개발
정필상 연구실은 광의료기기 및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개발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확산 광학 분광 영상, 광진단 프로브, 다파장 레이저 다이오드, 플렉시블 OLED 기반 치료기기 등 다양한 광의료기기를 자체적으로 설계·개발하고,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암 진단, 혈관 질환, 피부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헬스케어와 연계한 스마트 의료기기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헬스케어 장치와 연동되는 광학 진단 및 치료 시스템, 모바일 기반 광치료기, 인공지능 기반 영상 분석 시스템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베크만광의료기기연구센터(BLI-Korea)와의 협력, 국가연구재단 및 산업체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추진되고 있습니다. 정필상 연구실의 광의료기기 및 디지털 헬스케어 연구는 다수의 특허와 기술이전, 제품 상용화로 이어지고 있으며, 미래 의료 환경에서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실현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1
Shh agonist enhances maturation in homotypic Lgr5-positive inner ear organoids
카페나나타니엘, 김경욱, 최지은, 정필상, 장소영, 문세영, 윤현철, 모지훈, 안진철, 박지온, 한규동, 정재윤, 이민영
Theranostics, 202504
2
Evaluation of sodium hyaluronate-based composite hydrogels for prevention of nasal adhesions
정필상, 파달린앤드류, 류현석, 아부에바 셀린, 서휘현, 박소영, 민준원, 유승현, 우승훈
Biomedical Materials, 202409
3
Effect of fractional picosecond laser therapy using a diffractive optical lens on histological tissue reaction
정필상, 이연희, 박병철, 유신혁, 정지연, 모지훈
Journal of Cosmetic and Laser Therapy, 202408
1
확산 광학 분광 영상에 기반한 디지털 헬스 케어 장치 개발
한국연구재단
2024년 ~ 2024년 12월
2
(해외기관부담금) 한국베크만광의료기기연구센터(BLI-Korea)
한국연구재단
2023년 ~ 2023년 12월
3
한국베크만광의료기기연구센터(BLI-Korea)-GRDC 법인화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2023년 ~ 2023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