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최정윤 연구실

인천대학교 건축공학

최정윤 교수

V3_minor

최정윤 연구실

건축공학 최정윤

최정윤 연구실은 도시건축학부 소속으로, 도시의 역사문화환경과 현대건축물의 조화로운 공존을 위한 건축계획 및 설계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도시유산 보존과 현대적 발전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특히 역사도시환경 내에서 현대건축물이 어떻게 적합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실증적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건축물의 높이, 매스, 재료, 색채 등 다양한 디자인 요소가 도시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국내외 다양한 사례를 통해 조화로운 도시환경 형성에 필요한 구체적인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또한, 국제보존원칙과 국가별 정책, 지역사회 참여 등 다양한 관점에서 도시 역사문화환경 내 현대건축물의 적합성 개념을 다각적으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도시공간 및 건축계획 연구도 중요한 축을 이룹니다. 고령층의 근린생활권, 복지시설, 의료시설 등 다양한 공간의 입지 및 건축적 특성을 분석하여, 고령층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시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고령층의 공간 이용 행태 연구, 농어촌 및 도심 내 복지시설의 입지 특성 분석 등 실질적인 정책 및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도시 내 상업공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수변공간의 활성화 전략, 디자인 심의 제도 개선 등 도시와 건축의 다양한 이슈를 폭넓게 다루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다양한 프로젝트와 논문, 학술대회 발표를 통해 도시건축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실무적 적용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습니다. 최정윤 연구실은 앞으로도 도시의 정체성과 문화적 가치를 보존하면서 현대 사회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는 창의적이고 실천적인 연구를 지속해 나갈 것입니다.

도시 역사문화환경 내 현대건축물의 적합성 연구
도시의 역사문화환경은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현대건축물이 새롭게 들어설 때 기존의 역사적 맥락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본 연구실은 이러한 맥락에서 현대건축물이 역사도시환경 내에서 어떻게 적합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실증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건축물의 높이, 매스, 재료, 색채 등 다양한 디자인 요소들이 주변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조화를 이루는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집니다. 특히, 국내외 다양한 사례를 통해 현대건축물의 디자인 요소별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높이와 매스의 분절, 재료의 색채 조정 등이 조화로운 도시경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합니다. 또한, 국제보존원칙과 국가별 정책, 지역사회 참여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역사문화환경 내 현대건축물의 적합성 개념을 다각적으로 탐구합니다. 이를 통해 도시유산 보존과 현대적 발전이 상생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의 정체성과 문화적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현대 사회의 요구를 반영하는 건축계획 및 설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궁극적으로는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문화적 풍요로움을 동시에 추구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고령층을 위한 도시공간 및 건축계획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에 따라 고령층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도시공간 및 건축계획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고령층의 근린생활권, 복지시설, 의료시설 등 다양한 공간의 입지 및 건축적 특성을 분석하여, 고령층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시환경 조성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인천시를 비롯한 다양한 지역의 사례 연구를 통해 고령층의 공간 이용 행태와 요구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특히,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고령층의 도시공간 이용 패턴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정책 및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농어촌 지역의 노인의료시설 복합화, 도심 내 복지시설의 입지 특성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고령층의 신체적·사회적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공간계획을 제안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령친화적 도시환경 조성뿐만 아니라,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포용적 도시계획의 실현에도 기여합니다. 앞으로도 고령층의 삶의 질 향상과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전개할 예정입니다.
1
Demographic influences on urban commercial spaces: Spatial characteristics and purchase patterns across age groups in Incheon, Korea
최정윤
CITIES, 202505
2
Understanding the Role of Processes in Shaping the Compatibility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Historical Urban Environments
최정윤
Buildings, 202501
3
Understanding the operation of contextual compatibility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heritage intensity, context density, and regulation degree
Choi J., Park S.
Buildings, 2021
1
뉴노멀 시대 고령층 근린생활권 계획 연구: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령층 건축·도시공간 이용 행태 분석을 기반으로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수변특례구역 지정 및 운영 매뉴얼 구축 용역
서울특별시
2023년 05월 ~ 2023년 12월
3
역사 도심부 내 현대건축물 디자인에 관한 연구
교육부
2015년 03월 ~ 2016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