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Energy Materials Laboratory – Myung's Research Group

인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명재하 교수

Oxygen Evolution Catalysis

Solid Oxide Fuel Cells

Nanoparticle Exsolution

Energy Materials Laboratory – Myung's Research Group

신소재공학과 명재하

에너지 소재 연구실(Energy Materials Laboratory, EML)은 인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명재하 교수의 지도 아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전해전지(SOEC), 금속-공기전지, 고온 수전해 전지(MCEC) 등 차세대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시스템의 핵심 소재와 구조를 연구하는 국내 대표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전기화학 및 촉매 반응을 기반으로 한 수소 및 합성가스 생산, 이산화탄소 전환, 암모니아 연료 활용 등 지속가능한 에너지 사회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체산화물 셀의 효율과 내구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박막 전해질, 금속 지지체 기반 셀, 유연한 전해질 소재 등 혁신적 구조 및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RF 스퍼터링, 테이프 캐스팅, 동시소성 등 첨단 공정기술을 활용하여, 전극 및 전해질의 미세구조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대면적화 및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전해질 및 전극 소재의 합성, 미세구조 최적화, 전지 단위의 성능 평가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나노촉매 및 용출(Exsolution) 기반 촉매 설계는 본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분야입니다.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내 금속 이온 도핑 및 고온 환원 조건에서 자발적으로 표면에 나노입자가 용출되는 현상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기존 촉매 대비 뛰어난 내구성과 활성, 코킹 및 황 중독 저항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나노촉매는 연료전지, 전해전지, 금속-공기전지, 가스센서 등 다양한 에너지 및 환경 응용 분야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나노복합체(Nanocomposite) 전극, 금속-공기전지용 촉매, 고온 수전해 전지(MCEC) 등 다양한 응용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Ni/YSZ-YSZ, NiFe/YSZ-YSZ, Ni/BZCY-GDC 등 다양한 조성의 나노복합체 전극은 연료 산화 반응의 활성화, 이온 전도성 향상, 내구성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Pechini-type 중합 등 첨단 합성법을 통해 장기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용융탄산염형 고온수전해 전지 연구를 통해 고효율 수소 및 이산화탄소 동시 생산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국내외 산학연 협력 및 대형 국책과제를 통해 실용화 기반을 구축하고 있으며, 다수의 특허, 국제 저명 학술지 논문, 학술대회 수상 등 우수한 연구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에너지 소재 및 시스템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선도하며, 탄소중립 및 지속가능한 미래 에너지 사회 실현에 기여할 것입니다.

Oxygen Evolution Catalysis
Solid Oxide Fuel Cells
Nanoparticle Exsolution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전해전지(SOC/FC/EC) 소재 및 시스템 개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및 전해전지(SOEC)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또는 그 반대로 고효율로 변환할 수 있는 차세대 에너지 변환 시스템입니다. 본 연구실은 이러한 고체산화물 셀의 핵심 소재와 구조적 혁신을 통해 에너지 변환 효율을 극대화하고, 내구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온에서 작동하는 SOC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박막 전해질, 금속 지지체 기반 셀, 그리고 유연한 전해질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박막 SOFC(TF-SOFC)는 RF 스퍼터링 등 첨단 증착 기술을 활용하여 전해질과 전극의 구조를 미세하게 제어함으로써, 낮은 온도에서도 높은 이온 전도도와 전기화학적 성능을 구현합니다. 또한, 금속 지지형 SOC(MS-SOC)는 기존 세라믹 지지체의 취성을 극복하고,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이러한 구조적 혁신은 소재 비용 절감과 대면적화, 그리고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전해질 및 전극 소재의 합성, 미세구조 최적화, 그리고 전지 단위의 성능 평가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소 생산, 이산화탄소 전환, 암모니아 연료 활용 등 미래 에너지 사회의 핵심 기술을 선도하고 있으며, 국내외 산학연 협력 및 대형 국책과제를 통해 실용화 기반도 함께 구축하고 있습니다.
나노촉매 및 용출(Exsolution) 기반 촉매 설계
나노촉매는 연료전지, 전해전지, 금속-공기전지 등 다양한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장치의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입니다. 본 연구실은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등 복합 산화물 내에 금속 이온을 도핑하고, 고온 환원 조건에서 자발적으로 나노입자가 표면에 용출(Exsolution)되도록 제어하는 혁신적 촉매 합성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나노입자는 지지체 표면에 강하게 고정되어, 기존 상향식(Top-down) 방식 대비 뛰어난 내구성과 촉매 활성, 그리고 코킹 및 황 중독에 대한 저항성을 보입니다. 용출 현상의 핵심 메커니즘인 핵생성, 성장, 소켓팅, 형상 변화 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나노입자의 조성, 크기, 분산도, 형상을 제어하는 전략을 연구합니다. 이를 통해 건식 개질, 암모니아 분해, 가스 센싱 등 다양한 열화학 및 전기화학 반응에서 고효율, 고선택성 촉매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중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다중 금속 도핑, 표면 개질 등 다양한 소재 설계 기법을 도입하여 촉매의 기능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체산화물 셀의 전극, 금속-공기전지의 산소 발생/환원 반응(OER/ORR) 촉매, 고온 수전해 전지(MCEC) 등 다양한 에너지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나노촉매의 성장 및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적 모델링과 실험적 검증을 병행하여, 촉매 설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나노복합체 및 금속-공기전지, 고온 수전해 전지(MCEC) 응용
본 연구실은 나노복합체(Nanocomposite) 소재를 기반으로 한 고성능 전극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Ni/YSZ-YSZ, NiFe/YSZ-YSZ, Ni/BZCY-GDC 등 다양한 조성의 나노복합체 전극은 연료 산화 반응의 활성화, 이온 전도성 향상, 그리고 내구성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echini-type 중합 등 첨단 합성법을 활용하여 나노입자의 균일한 분산과 강한 결합을 구현하고, 고온 소결 시 응집을 방지하여 장기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금속-공기전지(Metal-air battery) 분야에서는 산소 발생/환원 반응(OER/ORR)용 촉매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귀금속 기반 촉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용출 기반 전이금속 나노촉매를 설계하여 높은 전기화학적 활성과 열화학적 안정성을 동시에 달성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전해, 에너지 저장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실질적인 성능 개선을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용융탄산염형 고온수전해 전지(MCEC) 연구를 통해 고효율 수소 및 이산화탄소 동시 생산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고온에서의 반응 속도 향상, 전극 및 전해질의 내구성 증진, 니켈 산화물 용해 저항성 강화 등 상용화의 장애 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소재 및 공정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산과 탄소중립 사회 실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Toward flexible ceramic fuel cells: Switching off brittleness in zirconia-based electrolytes
Bo-Ram Won, Hyeongwon Jeong, Yo Han Kim, Jae-ha Myung*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25
2
Development of Li-Coated NiO Catalyst for Enhanced Alkaline Oxygen Evolution Reaction
Hyeongwon Jeong, Dohun Kim, Bo-Ram Won, Yo Han Kim, Hyejin Jeon, Yeeun Kim, Somi Lee, Dayoung Park, Jae-ha Myung*
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Research, 2025
3
Optimizing Reversible Exsolution and Phase Transformation in Double Perovskite Sr2Fe1.5-xCoxMo0.5O6-δ Electrodes for High-Performance Symmetric Solid Oxide Cells
Hyejin Jeon, Yo Han Kim, Hyeonggeun Kim, Hyeongwon Jeong, Bo-Ram Won, Wonjun Jang, Chan-ho Park, Kang Taek Lee*, Jae-ha Myung*
small, 2024
1
1kW급 용융탄산염형 고온수전해 전지(MCEC) prototype 개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25년 ~ 2025년 04월
2
직접 암모니아 연료용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개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2025년 ~ 2025년 07월
3
세라믹소재 분야 디지털 전환을 위한 시뮬레이션?AI 기반 가상공학 플랫폼 구축 용역
한국세라믹기술원
2024년 06월 ~ 2024년 10월